원문정보
Analysis of Volatility and Efficiency to the on and Offshor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the Before and After the QE3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actual proof how the global dollar liquidity increase due to quantitative easing policy of Fed influence the currency market volatility and efficiency in korean onshore and offshore currency marke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us understand how quantitative easing policy of the Fed made the currency markets of the developing country like Korea play the role of information package point of view in volatility. First of all, to look into the changes in volatility before, after and midst of QE3, the most strongest quantitative easing of Fed, modified Levene test was conducted. The exchange rate variability in spot exchange market, NDF marekt and forward exchange market all increased after the QE3, and during the QE3 enforcement period, it was smaller than at the end of QE3. The volitility in each market was all the largest before enforcing QE3, followed by after QE3 and during QE3. This is because after the QE3, the reduced volatility in our onshore and offshore currency market had an effective influence on recovery of finance and real economy part,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financial market, and greatly decreasing the risk of currency markets. Next, the analysis of Fed's QE3 on efficency of onshore and offshore currency market shows that the effect of global liquidity expansion was rapidly absorbed to spot and forward market excluding the offshore NDF market,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nly the efficiency of NDF market did not improve after implementing QE3. This result is because the decreasing volatility in onshore market by long term QE3 decreased the hedge demand for risk via offshore NDF market. Accodingly the function of NDF market as information package was relatively diminished. Following this results, influence of retrenchment policy of Fed such as raising federal funds rate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recovery of real economy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Korea. We need therefore to consider anticipative policies in terms of stability of financial policies in recent.
한국어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경제의 구조 변화 이후, 우리나라 역내 외 통화시장에서 Fed의 양적완화 정책에 따른 글로벌 달러 유동성 증가가 통화시장 변동성과 시장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는 변동성의 관점에서 미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이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 통화시장을 정보 집합소로써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먼저, Fed의 양적완화 중 가장 강력했던 QE3 시행 시점의 전과 후, 중간 시점에 변동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수정 Levene 검정을 실시하였다. QE3 시행 이전 현물환시장, NDF시장, 선물환시장의 환율 변동성은 모두 QE3 시행 이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QE3 시행 기간 중에는 QE3 종료시점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각 시장에 대한 변동성은 모두 QE3 시행이전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QE3 시행 이후, QE3 시행 기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QE3 시행이후 원화에 대한 역내·외 통화시장의 변동성 감소가 금융과 실물부문 회복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쳐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였 고, 통화시장 리스크도 크게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역내·외 통화시장 효율성에 대한 Fed의 QE3에 대한 분석결과, 글로벌 유동성 확대 영향이 원화에 대한 역외 NDF시장을 제외한 역내 현물환시장과 선물환시장에 빠르게 흡수되면서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NDF시장만 QE3 시행 이후에도 효율성이 증가하지 않은 것은 장기간에 걸친 QE 시행에 따른 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 감소로 비거주자들이 역외 NDF시장을 통해 위험에 대한 헤지 수요를 감소시켜 NDF시장의 정보 집합소로서의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Fed의 기준금리 인상과 같은 긴축정책의 영향은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 국들의 실물경기 회복에 부정적 영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금융정책의 안정성 측면에서 향후 대응에 선제적 정책 고려가 필요하다.
목차
Ⅱ. 개별 통화시장 변동성과 효율성에 대한 선행연구
Ⅲ. 자료에 대한 통계적 특성
Ⅳ. 분석방법론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