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국적기업의 해외파견인 현지 이직의도 연구: 직무배태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xpatriate Turnover Intention in Local Country: Focusing on Job Embeddedness

김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xpatriates of MNCs are intermediary of headquarter’s vision, strategy and managerial know-how as well as transferor of tacit knowledge created by subsidiaries. Expatriates can be an important asset for MNCs because they can create valuable tacit knowledge by accumulating experiences in foreign country. In previous research scholars mainly have studied about expatriate’s adaption. However the study about expatriate’s turnover intention is also very important in MNCs’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is study, based on job embeddedness theory I classify factors by headquarter factor, local subsidiary factor and local community factor and try to unveil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on expatriate’s turnover intention. To do this I conducted a survey of 150 expatriates working at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Germany, and Japan. The result show that headquarter fit, local subsidiary link have negative effect on expatriates turnover intention. But local community fit have positive effect on expatriates turnover intention. By breaking down the situation of expatriates and analyzing this study find more specific results than previous study about job embeddedness and can contribute theoretically meaningful implications differentiated outcomes. In addition, this study may provid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manage expatriates turnover intention, Headquarter of MNCs should carefully concern and educate relevan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 vision, values, and culture. And in local subsidiary, internal connectivity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local communities outside. Consequently MNCs need to manage turnover intention of highly-adjusted expatriates who have more link in local communities outside.

한국어

다국적 기업의 해외 파견인(expatriates)은 본사의 비전과 전략 및 경영노하우를 해외자회사에 이전시키는 주체인 동시에 자회사에서 창출된 지식이전의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파견인은 기업 투자의 결과로 얻어진 자산이며 현지에서 축적한 지식과 경험을 통해 암묵적 지식을 창출하는 다국적 기업의 중요 자산이라 할 수 있다. 파견인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파견인의 현지 적응과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파견인의 이직과 관련된 내용 역시 다국적 기업의 인사관리에서 중요한 이슈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국적 기업 파견인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직무배태성 이론을 기반으로 파견인이 직면하고 있는 본국과 현지국 환경을 세분화하여 본사, 현지 자회사, 현지 커뮤니티 요인으로 구분하고 적합성, 연계, 희생 등 직무배태성 하위 요인들이 각각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중국, 독일, 일본 등 다국적 기업의 자회사에서 근무 하고 있는 파견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국적 기업 파견인의 현지 이직의도는 본사와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낮아지고 현지 자회사 내에서는 연계가 강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견인의 현지 커뮤니티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현지에서의 이직의도를 오히려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직무배태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본국과 현지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본국 기반의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와 차별화된 결과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 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국적 기업의 파견인 관리에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다국적 기업의 본사에서 파견인의 이직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본사의 비전, 가치관, 문화 등 적합성 관련 변수들에 대한 파견인 관리와 교육이 중요하며 현지 자회사에서는 현지 외부의 커뮤니티 보다는 사내 연계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이 파견인의 이직의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외 자회사로 파견되는 파견인원들이 외국으로 나가서 새로운 사회 환경과 조직 환경에서 잘 적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적응도가 높은 파견인의 경우 현지에서의 이직의도가 높아질 수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III. 연구방법
V. 실증분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연 Ji Yeon Kim. 호서대학교 경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