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negotiation tendencies on firm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on tangible and intangible outcomes, and whether entrepreneurship mediates entrepreneurs' negotiating capacity and firm perform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ntrepreneurs on negotiation tendencies,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negotiation tendencies,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First, the effect of negotiation tendency on entrepreneurship was verified. Second, the impact of negotiation tendenc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tested. Finally, it proved whether entrepreneurship mediates between negotiation tend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cision-making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has a direct impact on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entirely mediated between negotiating propensity and the firm’s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bargaining power of entrepreneurs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 and that cultivation of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Entrepreneurs are required to provide training and mentoring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ir bargaining capacity and entrepreneurship.
한국어
본 연구는 창업자의 협상성향이 기업의 유·무형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의 협상성향이 기 업가정신과의 관계,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유·무형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자 의 협상성향과 기업성과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창업가를 대 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협상성향이 기업가정신과 기업성 과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협상성향 중 결단형만이 기업성과와 기업가정신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유형성과와 무형 성과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업가정신은 협상성향과 기업의 유형성과 및 무형성과 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기업의 유·무형 성과를 위해서 창업가 의 협상력 향상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함께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창업 가에게 협상역량강화와 기업가정신을 위한 교육과 멘토링 기회의 제공이 정책적으로 요구된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곽노성(1999), 「국제협상론」, 서울: 경문사.
- 2김민호, 안영미(2019), 「동양고전으로 이해하는 한중일 협상전략 협상의 힘」, 서울: 민음사.
- 3김병국, 박현숙(2002), “협상가의 자질과 협상성과의 관계분석”. 「무역학회지」, 제27권 제4호, pp. 131-153.
- 4김기웅, 김문선(2017), “중소기업의 성장관점에서 사내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실증분석”, 「벤처창업연구」, 제12권 제5호, pp. 13-28.
- 5박아청(2001),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자기의 발달”, 「한국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pp. 117-147.
- 6박현준, 이종건(2004), “협상자 개인특성과 협상성과:협상자 역할을 고려한 실증적 연구”, 「경영학연구」, 제33권 제2호, pp. 325-347.
- 7윤대혁, 박민생(2007), “경영자의 기업가정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제14권 제2호, pp. 99-121.
- 8위오기(2010), “기업가태도와 협상에 관한 연구: 대중무역 거래실물자의 분배 및 통합적 합의를 중심으로”. 「한국무역학회」,제3권 제31호, pp. 1-29.
- 9이종건(2006), “협상정황이 협상성과에 미치는 영향: 협상 쌍의 사회적 관계와 시간압력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19권 제5호, pp. 2071-2095.
- 10정대용, 유봉호(2007), “기업가·시장지향성이 조직 유효성과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2권 제2호, pp. 17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