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한국 중소 건설기업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Africa is emerging as a promising land for companies exploring foreign market entry opport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factors influencing entry mode decision of Korean construction SMEs in the African market. Using a cross-country comparative case study approach, we analyzed entries of Korean specialty contractors in three African countries: Morocco, Nigeria, and Algeria. Findings reveal that entry mode is highly influenced by host country factors such as regulations and safety. In particular, SMEs stagger entry mode and entry process to the host country uncertainty level. To keep an option to expand the investment later in Algeria and Nigeria having a high uncertainty level, SMEs start with low level engagement, for instance subcontractor, and extend further when they have acquired enough proprietary information as well as a strong local network. This staged entry mode is grounded in real option theory. This research emphasizes on industry factors relevant on the entry mode decision and the unique trait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also builds a systematical approach of Korean construction SMEs towards the African market. Another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awareness for the reciprocal growing interest of Korean SMEs for the African market that needs to be stimulated by more incentive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유망 진출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중소 건설기업의 해외진출전략 수립시 고려할 사항과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주요 3개국(모로코, 알제리, 나이지리아)에 진출한 중소기업들의 진출사례를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프리카 3개국의 규제 및 안전 등의 투자환경에 따라 중소기업의 진출 전략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전통적인 해외 진입방식 연구에 주로 사용되어온 거래비용이론과 함께 실물옵션이론 관점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나이지리아와 알제리와 같이 불확실성이 높은 국가인 경우 중소기업이 거래비용보다 실물옵션 관점으로 판단하여 도급계약 (subcontract) 식으로 진출한 이후 충분한 정보와 지역네트워크가 구축된 후에 사업 확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반면, 불확실성이 낮은 국가(모로코)인 경우 기업들은 거래비용 개념을 바탕으로 유동적(mobile entry) 또는 영구적(permanent entry) 진출로 진행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전입전략 수립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에게 줄 수 있는 시사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Approach
Ⅲ. Investment Environment of Three African Countries
Ⅳ. Results of Case Analysis
Ⅴ. Conclusions
Referenc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