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적응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Work Adjustment

신준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mediation effect of work adjustmen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90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region from 2019. 5. 1 to 2019. 6. 30.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s of conflict in workplace relationships and maladjustment to the workplace culture had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immersion, while high levels of evaluative and information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Second, high levels of work instability and conflict in workplace relationships were shown to lead to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s in the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Third, job adjustment was confirm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These conclusions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in formulating various policies to reduce job stress, reinforce job adjustment, and lower the turnover rate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 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지원사로 근무하고 있는 290명 을 대상으로 2019. 5. 1. ~ 6. 30. 까지 조사하였으며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갈등관계가 심할수 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며 정서적지지, 평가적지 지,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 스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갈등관계가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낄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할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제거하고 직업적응력 을 강화시키며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
2.2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응 간의 관계
2.3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직업적응 간의 관계
Ⅲ. 실증연구
3.1 연구대상
3.2 연구가설
3.3 측정도구
3.4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응 영향 검증
4.3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영향 검증
4.4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영향에서 직업적응(직무만족,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신준옥 Jun-ok Shin.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