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대생의 포커싱적 태도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female college students’levels of focusing manner

정은빛, 주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importan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o perceive the career situation correctly, without distorting the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Furthermo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ir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focusing manner is helpful in the care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career barrier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female college students’ levels of focusing manner. The study also sought to help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reer counseling by examining the impact of focusing manner on career barriers aware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Korean Focusing Manner Scale-Revised (KMS-R), career barriers awareness scale,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S-SF), and analyzed 393 survey responses. The inter-item consist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of questions was confirmed for collected data using SPSS 24.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1-way ANOVA analysis, Scheffe test were carried out. The study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verified that a group with high level of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 attitude including ‘relaxation’, ‘expression’, ‘reflection’, and ‘acceptance’ but excluding ‘realization’ perceived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awareness more, which were ‘restrictions in the labor market and low expectations’ and ‘stereotypes on women’s employment.’. Second,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y,’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 in a group with high-level subfactors of focusing manner attitude than the groups with moderate and low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consultative intervention using focusing manner as a way to promote the correct awareness of career barrie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all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한국어

여대생은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을 왜곡이 아닌, 진로상황을 올바르게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진로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여대생의 진로과업에서 중요한 변인이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포커싱적 태도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의 차이를 밝혀 여대생의 진로과업 과정에서 포커싱적 태도가 도움이 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 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포커싱적 태도 척도, 진로장벽인식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93부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이 용하여 문항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 분석(1-way ANOVA), 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커 싱적 태도 하위요인 ‘알아차리기’를 제외한 ‘여유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 ‘받아들이기’가 높은 수 준인 집단이 진로장벽인식 하위요인 ‘노동시장의 제약과 낮은 기대’, ‘여성취업에 대한 고정관념’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직업정보수집활동’은 포커싱적 태도가 모 두 높은 집단이 보통과 낮은 수준의 집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진로장벽에 대한 올 바른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포커싱적 태도를 활용한 진로 상담 및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포커싱적 태도
2.2 진로장벽인식
2.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4.1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결과
4.2 주요변인 기술통계
4.3 포커싱적 태도 수준별 진로장벽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기술통계
4.4 포커싱적 태도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차이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은빛 Eunbit Jeong. 덕성여자대학교 임상 및 상담심리학과 석사
  • 주은선 Eunsun Joo.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