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간효과 모형을 이용한 한류가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Korean Waves on Korean Exports using Spatial Effects Model

정명선, 강한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of Korean waves on Korean exports (1995-2014) by regional groups using spatial effects. Most previous studies ignored spatial interdependence between neighboring countries. Empirical results by regional groups show spatial effects are positive and significant in Asia, North America, South America and Africa but not in Europe and Oceania at 5% significant level. The effect of exports of Korean cultural content on Korean total exports is positive and significant in Asia, North America and Africa. This is because that Korean culture has little rejection in these areas but not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and Oceania. In particular, the coefficient of Korean waves in Asia on Korean total exports is the biggest relatively. This means that Korean waves in Asia is needed to upgrade constantly while require customized cultural content in Europe and Oceania. There are spatial effects of Korean cultural content but the effect of Korean cultural content on Korean total exports not insignificatnt in the Miiddle East. So we need the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new product which is connected to Korean waves in the Middle Eas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공간효과를 이용하여 한류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한국의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117개국 전체 및 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효과 분석은 한류의 공간효과 유무를 먼저 파악하고 한류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이들 지역의 한국 총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공간시차모형과 공간오차모형을 이용해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 증분석 결과 한류의 공간효과는 5% 유의수준에서 아시아, 미주,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공간효과가 존재하고 유럽과 대양주 지역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류의 문화콘 텐츠 수출은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지역에서 한국의 총수출에 정(+)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시아, 미주,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한류에 대한 현지국 정서 및 문화 수용성의 정도가 높은 반면 유럽과 대양주에서는 비교적 이질적 문화 수용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아시아지역의 한류가 한국의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커 아시아지역에서의 한류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한류 문화콘텐츠의 질적 제고가 요구되며 한류의 문화적 수용성이 낮은 유럽, 대양주 등에서는 특화된 현지 맞춤형 문화콘텐츠의 개발이 절실 하다고 하겠다. 또 중동지역은 한류의 공간효과는 존재하지만 한국의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이 지역에서는 한류 연계 가능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 노력이 절실하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콘텐츠 수출 현황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명선 Myong-Sun Jung. 인제대학교 대학원 국제통상학과
  • 강한균 Han-Gyoun Kang. 인제대 글로벌경제통상학부(동북아경제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