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르별 음반 커버의 색채 비교 분석 - 2019년 디지털 차트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ison Analysis on the Color of Music Cover According to Genre - Based on the digital chart in 2019 -

이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ver design, a component of the music, corresponds to the visual stimuli consumers experience and acts on the emotional part. In order to find out what colors are meant to consumers, the study first extracted and analyzed colors in use by six genre music covers of 48 ballad, 13 dance, 11 hip-hop, 9 rock/fork, 11 OSTs, and 6 pop songs using the Korean Standard Color Analysis(KSCA).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evant emotional language was derived for each color extracted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for each genre. A navy(PB) family with deep, corporate, royal, trust, duty, authority, conservative, professional, sad, knowledge meaning was most commonly used as casting colors in ballads, rock/fork genres, and an orange(YR) family with warm autumn, beer, cookies, summer, retro style, delicious, sun, amiable and friendly meaning was used as the casting color of the OST, POP genre. Taking into account the emotional meaning of colors, designing for the genre of music is important for people who use music to obtain the right information about music through the design of the music cover and to stimulate purchasing sentiment. After this study, we hope to continue our research on emotional stimulation of consumers through various research for connection between design and music industries such as video and design goods as well as music covers.

한국어

음반의 구성요소인 커버 디자인은 소비자들이 음반 을 경험하는 시각적 자극물에 해당되며 감성적인 부 분에 작용하게 된다. 음반에 사용된 색채가 소비자들 에게 어떠한 감성적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지 알아보 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발라드 48종, 댄스 13 종, 힙합 11종, 록/포크 9종, OST 11종, POP 6종의 6개 장르별 음반 커버에서 사용 중인 색채를 한국표 준색색채분석(KSCA)을 활용하여 추출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추출된 색채별 관련된 감성 언어를 도출하였으며 각 장르별로 그 결과를 정 리하였다. 깊은, 기업적인, 왕실의, 신뢰, 의무, 권한, 보수적인, 전문적인, 슬픈, 지식의 의미를 지닌 남색 (PB) 계열이 발라드, 록/포크 장르에 주조색으로 가 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따뜻한, 가을, 맥주, 쿠키, 여 름, 복고풍의, 맛이 좋은, 태양의, 상냥한, 친근한의 의미를 지닌 주황(YR) 계열이 OST, POP 장르의 주 조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색채가 갖고 있는 감성적 의미를 고려하여 음반의 장르에 맞게 디자인하는 것은 음악을 이용하는 일반 인들이 음반 커버 디자인을 통해 음악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획득하고 구매심리를 자극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 이후 음반 커버 뿐만 아니라 영상, 디자인 굿즈 등 디자인, 음악 산업 간의 연계를 위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감성적 자극에 대한 연구가 계 속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음반 커버의 발생과 기능
2.2. 선행연구
3. 장르별 음반 커버의 색채 분석
3.1. 색채 분석 대상
3.2. 분석 방법
4. 색채 분석 결과
4.1. 발라드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2. 댄스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3. 힙합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4. 록/포크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5. OST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6. POP 장르 색채 분석 결과
4.7. 종합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주현 Lee, Joo Hyun.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