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hich i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influx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books, examined the meaning of publishing culture history of Sachan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by Hullyeon Dogam in 1612. Sachan was a book which was transformed into the Joseon style through process of transformation by a group of people such as Yi Hangbok, Cho Wihan, Lee Deokhyung, and Yun Geunsoo with outstanding competences in politics, academics, and culture who read the Ming wood-block of Sagichan and Sagipyeonglim that were reflecting the academics and thought of Chinese people at that time and transformed them to their own. This book can derive the meaning of publishing culture history from the inflow of famous books and the production of independent texts, the acceptance of the school style of the retro-modernism at the end of Myeong Dynasty, the influence of the ancient literature school, the dissemination of books through Hullyeon Dogam, and the historical status of printing culture.
한국어
이 글은 중국본의 유입과 변용 양상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1612년 훈련도감에서 편찬하고 간행했던 『史纂』의 출판문화사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사찬』은 17세기 초 이항복ㆍ조위한ㆍ이덕형ㆍ윤근수 등 정치ㆍ학문과 문화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던 인물들이 모여, 당대 중국의 학술과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 明刊本 『史記纂』과 『史記評林』의 탐독과 자기화 과정을 거쳐 조선식으로 탈바꿈한 서적이다. 이 책은 명간본의 유입과 독자적 텍스트의 제작, 명말 복고주의 학풍의 수용과 조선 고문
목차
1. 서론
2. 중국본의 유입과 『사찬』의 간행
2.1 『사찬』의 출현 배경
2.2 『사찬』의 편찬과 체제
2.3 중국본의 수용과 그 특징
3. 『사찬』 간행의 출판문화사적 의미
3.1 명간본의 유입과 독자적 텍스트의 제작
3.2 명말 복고주의 학풍의 수용과 조선 고문학파의 영향
3.3 훈련도감의 서적 보급과 인쇄문화사적 위상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