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元戎劍記」와 『朝鮮美術大觀』의 雙龍劍 形態 分析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Shape for Ssangyong-geom(雙龍劍,double dragon swords) by Comparing of Wonyoong-geom-gi(元戎劍記) and the Joseon-misuldaegwan(朝鮮美術大觀)

「원융검기」와 『조선미술대관』의 쌍용검 형태 분석

이석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nown to the public for the Ssangyong-geom, used by admiral Yi Soon-shin (忠武公李舜臣), it was not mentioned in the records of the his era as well as in the related literature of the his later generations, but it was first handed the record of the "Wonyoong-geom-gi" more than 200 years after. However, the existence of admiral Yi Soon-shin's swords was recognized by the public as the discovery of Joseon-misuldaegwan, which published in 1910, and the photo of the swords, believed to be Ssangyong-geom, were confirmed in 1984. Since the publication, swords have disappeared, and although scholars and public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find swords, they have not been found until now. The expectation that the swords could someday emerge if the swords still exists would be the wish of most Koreans, who believe that they are the swords of admiral Yi Soon-shin. However,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with the Swords of Joseon-misuldaegwan. Unlike the record of "Wonyoong-geom-gi," describes the two swords as identical forms, the swords on the picture in "Joseon-misuldaegwan" have different shapes. In this case, if the records of "Wonyoong-geom-gi" are true, the situation arises that the swords of "Joseon-misuldaegwan" cannot be Ssangyong-geom, and if the swords of "Joseon-misuldaegwan" are not Ssangyong-geom, the premise is that the swords we want to be discovered are not the swords of Wonyoong-geom-gi." In that case, the public's desire for hero's sword to be turned back means it may be a misunderstanding. To solve problem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cords and the picture needs to be preceded.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available archetypes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form of the swords in the picture of the "Joseon-misuldaegwan." The second is to use the two swords as data to gain access to check the connection of the Ssangyong-geom by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cord of the "Wonyoong-geom-gi" which described as "the two swords were the same" and the shape of the "Joseon-misuldaegwan." To this end, try to approach at the truth of the swords of "Joseon-misuldaegwan," based on the description and clues of the shape of the swords written in the "Wonyoong-geom-gi."

한국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전장에서 직접 사용했던 칼로 세간에 알려진 ‘쌍룡검’이란 이름의 칼은 당대의 기록은 물론 후대의 관련 문헌에도 전혀 언급되지 않다가 200여년이 지나 「원융검기」의 내용을 통해 쌍룡검 이란 명칭이 처음 전해졌다. 실물의 부재(不在)로 칼의 형태에 관해선 전혀 알 수 없던 중 1910년 에 발간된 『조선미술대관』 이 발견되고 그 속에 수록된 쌍룡검으로 추정 되는 칼의 사진이 1984년에 확인됨에 따라 유물의 실존이 입증되었다고 대중에게 인식되었다. 『조선미술대관』 발간 이후 어느 시점에선가 사라진 쌍룡검은 학계와 민간에서 소재파악에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2020년 현재까지 불명한 상황이다. 『조선미술대관』 의 쌍룡검이 아직도 존재하기만 한 다면 언젠가 출현할 수도 있다는 일말의 기대는 쌍룡검을 이충무공의 칼이라 믿고 있는 대부분 한국인들의 바람일 것이다. 그러나 『조선미술대관』 의 쌍룡검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두 자루 쌍룡검의 형태가 동일하다고 기술된 「원융검기」의 묘사와는 달리 『조선 미술대관』 에 실린 쌍룡검은 두 자루의 형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원융검기」의 기록이 사실이라면 『조선미술대관』 의 칼들은 쌍룡 검일 수 없다는 전제가 성립되고, 『조선미술대관』 의 칼들이 쌍룡검이 아니라면 우리가 찾게 되기를 갈망하는 칼이 「원융검기」에 기록된 이충 무공의 쌍룡검이 아니라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는 성웅(聖雄)의 칼이 회귀되기를 바라는 국민적 요망이 애초 근거가 부족한 오해에서 비롯된 일 일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융검기」의 기록과 『조선미술대관』 사진간 비교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기에 두 가지 목적 하에 분석을 실행했다. 첫 번째는 『조선미술대관』 사진 속 쌍룡검 형태의 구성요소와 항목별 세부 분석을 통해 칼의 원형 파악을 위한 것으로 『조선미술대관』 쌍룡 검의 형태적 실체를 알기 위한 원론적 자료가 된다. 두 번째는 “두 칼이 똑같았다”고 묘사한 「원융검기」의 쌍룡검 기록과 『조선미술대관』 의 사진간 차이점을 형태적으로 구분하여 연관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원융검기」에 기록된 쌍룡검의 형태 묘사와 단서를 토대로 『조선미술대관』 의 사진에 쌍룡검으로 명시된 칼의 형태를 비교 분석하여 「원융검기」와 『조선미술대관』 쌍룡검의 실체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원융검기」의 쌍룡검 형태 분석
Ⅲ. 『조선미술대관』의 쌍룡검 형태 분석
Ⅳ. 「원융검기」와 『조선미술대관』의 쌍룡검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석재 Suk Jae Lee. 고려대학교 문화유산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