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교방 예술의 전통과 가창 문학의 전승

원문정보

Tradition of Jeju Gyobang’s Art and Transmission of Singing Literature

강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adition of Jeju(濟州) Gyobang (敎坊) Art and the aspect of transmission in singing literature, and to identify the value of Jeju Gyobang Art and its meaning. This paper was reviewed the aspect of the transmission of the Gagok(歌曲, Sijo(時調)) in the records of various writers who came and went to Jeju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as well as Changminyo(唱民謠) which was widely enjoyed from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 period. First of all, in the case of Gagok, I found the cases of personal interaction and enjoyment with Gisaengs(妓生), such as the cases of Imje(林悌) and Igoat(李襘) around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 looked at the paintings on Tamlasuryeokdo(耽羅巡歷圖) and found that Gagok was performed as the main song of Gyobang in the early 18th century. Also, Kimjong's "Five Youngjoo Gagoks", which was created during this period, is valuable because it is a rare piece of song created in Jeju. In the case of Changminyo, various songs have been remained such as "Odoltogi," "Sancheonchomok," "Bongjiga" and "Dongpunga." These songs were mostly sung by Gisaeng in interrelations with Japga(雜歌) and folk songs from other reg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are well known to date.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tradition of Jeju Changminyo has been found in the traces of enjoyment from the late 16th century. After that time, the songs of Gyobang and folk have been interrelated and inherited to the present.

한국어

이 글은 제주 교방(敎坊) 예술의 전통과 가창 문학의 전승 양상에 대 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주 교방 예술의 가치와 그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 중후기, 제주를 오고 간 여러 문인들의 기록에서 보이는 가곡[시조]의 전승 양상과 근대전환기를 기점으로 폭 넓게 향유된 창민요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가곡의 경우, 16세기 전후에는 임제(林悌)나 이괴(李襘)의 경우처 럼 개인적 차원에서 기생들과 교유하며 향유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 었고, 18세기 초에는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에 남겨진 도상 자료를 통해 교방의 주 성악 종목으로 연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 지어진 김정(金亻政 )의 <영주가곡 5장(瀛洲歌曲五章)>은 드물게 보 이는 제주에서 창작된 가곡 작품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하겠다. 다음으로 창민요의 경우,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 <동 풍가> 등 여러 작품들이 현재까지 남아 전하고 있다. 이 작품들은 20세 기 초, 타 지역의 잡가, 민요 등과 상호연관 속에서 주로 기생들에 의해 불리며 현전하는 작품들로 잘 알려져 있다. 검토 결과, 제주 창민요의 전통은 이미 16세기 후반부터 그 향유의 흔적들이 보이며, 이후 교방의 노래와 민간의 노래들이 소통하며 현재까지 계승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 중후기, 제주 교방 예술의 전통과 가곡
Ⅲ. 근대 전환기, 제주 교방 예술의 전통과 창민요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경호 Kang Kyung Ho.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