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에 나타난 李白 <古風> 수용과 변주 – 작법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cceptance and Variation of Li Bai's <Gufeng> in <Libaigufengchaun> by Kim Si-bi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writing methods

김시빈의 <이백고풍차운>에 나타난 이백 <고풍> 수용과 변주 – 작법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how Kim Si-bin(金始鑌) accepted and variated Li Bai(李白)'s in his , in terms of writing method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using the rhyming words, Li Bai's seems to be transformed from ancient poems of the Han, Wei and Six Dynasties(漢魏六朝): in the sense that Li Bai had a command of Suguipun(首句入韻) on 12 pieces of , used rhymes in the manner of coexistent that either applying identical rhyme to the first line or not, and alternated between Pyeongun(平韻) and Cheukun(仄韻) without certain rules of rhyming interval. In by Kim Si-bin, however, these ways such as Suguipun and applying identical rhyme to the first line were not acceptable. At the base of this pattern was the intention to be less restricted by the rhymes of , and it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recognizing the rhyming scheme at the ends of even lines(隔句押韻) as a unique principle of ancient five characters poems. One of the features of poetic diction of ancient poems is the usage of circle phrase(連環句), which is suitable for sincerely expressing some emotions of poetic narrator by forming a kind of chain structure with using reduplication(重字), so that it could be a favorite method in the ancient poetry. Li Bai and Kim Si-bin both used the circle phrase; the one expressed his feelings of longing for his hometown and the fleetingness of finite life, the other delivered the own expectation for a change in the turbulent times of partisan strife and the doctrine of Zonhwayangi(尊華攘夷: to respect China and ostracize barbarians). The rhetorical method commonly used by Li Bai and Kim Si-bin is a metaphor(比興), and a case in point is ‘the sun covered by floating clouds’. This expression originates from the phrase “Buyunpyebaekil(浮雲蔽白日)” in , and which is a characteristic rhetoric used in Li Bai's . They used this metaphor in a variety of ways: to satirize a chaotic situation in which the royal authority was violated by stratagems of petty cliques and the treacherous, as well as to lament the miserable situation that having no favorable opportunity for the talented(懷才不遇).

한국어

본고는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이 운자, 어법, 수사법 등의 작법상 측면에서 李白의 <古風>을 수용하고 변주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韻字의 운용에 있어 이백의 <고풍>은 총 12수에 걸쳐 수구입운이 구 사된 점, 환운할 때 첫째 구에 입운한 것과 입운하지 않은 것이 병존하거 나 혼재되어 있고 환운의 거리에 일정한 규칙이 없으면서도 平韻과 仄韻 을 번갈아 썼다는 점에서 漢魏六朝의 古詩에서 변모한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러나 김시빈의 <李白古風次韻>에서 <고풍>의 수구입운과 환운 시 첫째 구 입운은 수용의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양상의 기저에는 <고 풍>의 운자에 구속을 덜 받으면서 자신만의 詩意로 변주하기 위한 의도 가 놓여 있으며, 아울러 격구 압운을 오언고시 고유의 원칙으로 인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고시의 어법상 특징 중의 하나가 重字의 連環句를 구사하는 것이다. 연환구는 上句(또는 上聯)의 마지막 한 글자 또는 두세 글자가 下句(또는 下聯) 맨 앞의 한 글자 또는 두세 글자와 중복되어 일종 의 연쇄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반복되어 끝이 없는 情意를 표현하는 데 적합하여 고시에서 즐겨 사용되던 작법이다. 이백은 연환구를 통해 고향 에 대한 그리움이나 유한한 인생의 덧없음과 같은 情意를 표현하였고, 김 시빈은 당쟁으로 점철된 亂世가 변혁되리라는 기대감이나 尊華攘夷의 의 식을 피력하는데 연환구를 활용하였다. 이백이 <고풍>에서 구사한 ‘比興’의 수사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이자 김시빈의 <李白古風次韻>에서도 활용된 것은 ‘뜬구름에 가린 태양’ 의 비유적 표현이다. 이것은 <古詩十九首>의 “浮雲蔽白日”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백의 <고풍>이 지닌 특징적인 수사법이다. 이백과 김시빈은 “浮雲蔽白日”의 비유적 표현을 변용하여, 소인배과 간신들의 농간에 의해 왕권이 침해당하는 혼란한 정국을 풍자하거나 그로 인해 초래된 자신들 의 ‘懷才不遇’한 처지를 한탄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古風> 수용 略史와 金始鑌의 <李白古風次韻>
Ⅲ. <李白古風次韻>의 작법상 <古風> 수용과 변주
1. 韻字의 운용 양상
2. 重字의 連環句구사
3. “浮雲蔽白日”의 전통과 변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훈 Lee Hoon. 강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