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宗代文人의 昭陵復位에 대한 기록의 양상과 그 의미

원문정보

The aspects of the writers' records in Jungjong(中宗)'s reign about restoration of Sorung(昭陵) and it's meaning

중종대문인의 소능복위에 대한 기록의 양상과 그 의미

정용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researched the political and academic intentions that the prime movers of the argument about restoration of Sorung(昭陵) are projecting on this issue and its mean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contents about Sorung were recorded considerably by the writers in Jungjong(中宗)'s reign. Sorung is the word that refered to Hyeondeok(顯德王后, 1418~1441), who was the queen of MoonJong(文宗) and the mother of Danjong(端宗). In 1456, Queen Hyeondeok was expeled from Jongmyo(宗廟) by Sejo(世祖) because of the movement for restoration of Danjong(端宗復位運動), but some people insisted that it was not proper considering the nation's prestige and Confucian justification. It is the core of the argument about restoration of Sorung. The restoration of Sorung was a pursuit that has beed raised continually by the rising scholars armed with the Confucian values. However, as it acted as one of the triggers for the massacre of scholars(士禍) in Yeonsangoon(燕山君)'s reign, it was considered a political taboo for a while. And in the time of Jungjong's reign, by the political growth of the scholars, it was able to accomplished in 1513. The prime movers for the restoration of Sorung were clos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to the former movers such as Nam Hyo-on (南孝溫) and Kim Il-son(金馹孫). In that sense, the restoration of Sorung in Jungjong's reign meant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Confucian values, but also the 'succession', 'official approval', and 'mainstreaming' of 15th century's academic intention. For this reason, the prime movers reestablished its justification and historical meaning by imprinting their achievements in the public and private records. such records encompass not only objective narratives and personal thoughts but also ghost stories about the restoration. It shows their consciousness and hope to external commemoration and publicity for restoration of Sorung. This thesis has a primary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to recognize the movers' conscious orientation and their passionate activity to establish Confucian value. In addition, it provide to have a extended vision about scholarly terrain in Jungjong's reign by understanding their academic tendency with continuity of 15th century and homogeneity between the old and new scholars.

한국어

본고는 ‘昭陵復位’와 관련한 내용이 中宗代文人들에 의해 집중적으 로 기억‧기록된 사실에 근거하여, 이를 통해 논의의 주체들이 이 사안에 투사하고 있던 정치적‧학문적 지향과 의미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昭陵’은 文宗의 비이자 端宗의 모친인 顯德王后(1418~1441)의 陵號를 가리키는 말이다. 현덕왕후는 자신의 사후에 발생한 端宗復位事件 (1456)에 연좌되어 世祖때 종묘에서 廢黜되었는데, 이것은 국가의 체모 와 유가적 명분에 비추어 볼 때 합당하지 못한 처사이므로 그의 位號를 다시 追復해야 한다는 것이 昭陵復位論의 요지이다. 소릉 복위는 成宗때부터 성리학적 가치관으로 무장한 新進士類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숙원 사업이었다. 그러나 이는 燕山君代 의 士禍촉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면서 이에 대해 거론하는 것 자체 가 한동안 정치적 금기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그러던 것이 中宗때에 이 르러, 이전보다 상승된 士類들의 정치적 지위에 힘입어 폐출 57년 만인 1513년 소릉의 追復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 여기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 행한 관료 문인들은 유가적 이념의 실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 은 물론, 대부분 南孝溫‧金馹孫등 前代의 소릉 복위론 주창자와도 정치 적‧학문적으로 긴밀한 관계에 놓인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점에서 보면, 중종대에 이루어진 소릉 복위는 유가적 가치관의 확립 뿐 아니라 이전 시대부터 내려온 신진 사류 학문관의 ‘繼承’과 ‘公認’, ‘主流化’를 의미하 는 상징적인 사건이기도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소릉 복위의 주체들은 자신이 이룩한 성과를 公的‧私 的기록 속에 새겨둠으로써 사안의 명분과 정당성, 사적 의의 등을 다시 한 번 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기록에는 복위의 경개에 대한 객관적인 서술이나 개인적 소회 뿐 아니라 사대부와 민간에서 떠도는 神異談까지 망라되어 있어, 소릉 追復의 대외적 기념과 공표를 바랐던 그들의 의식을 더욱 선명하게 읽어낼 수 있다. 이는 곧 중중대 관료들의 학적 지향과 특질을 나타내주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가 된다. 본고에서 검토한 이와 같은 내용은 소릉 복위를 실현시킨 ‘주체’의 문 제와 유가적 가치관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던 이들의 면모에 대해 인 식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의를 가진다. 아울러, 중종대 문인 들의 학적 지향을 15세기 학풍과의 연속성 및 당대 신구 사류 간의 동 질성 위에서 이해함으로써, ‘훈구-사림’의 구도 하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 던 이 시기의 학문 지형을 보다 입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도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소릉 복위론의 전개와 그 주체
Ⅲ. 소릉 복위를 둘러싼 기록의 양상과 의미
1. 墓道文‧哀祭類작품을 통한 추모와 기념
2. 私的기록을 통한 정치적 당위성 재확인
Ⅳ. 결론
<참고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용건 Chung, Yong-gun.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