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고자료로 본 원나라 주민의 탐라 이주와 정착

원문정보

The Immigration and Settlement of People from Yuan Dynasty through Archaeological Sources

김경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fter quelling Sambyelcho, Yuan Dynasty dispatched its own army in Tamra, made it its military station, and ruled directly the island for a century. Therefore, people from Yuan Dynasty with various classes moved to Jeju Island, formed towns and live there. In the late age of Tamra, towns and communities were formed centering on the original downtown, and then those for exporting and importing in East-north and those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goods in West-north were build in Jeju. However, there were no downtowns in West-south, and East-south regions. In the era of Goryeo, the situations were not largely different from the late Age of Tamra, and yet, there were increasing relic distributed areas in West-south region. It implies that the towns developed by the immigrants from Yuan Dynasty were concentrated in these areas. In particular, in the 26th year of King Chungryeol, a sub-county in West-south region was installed, and it is an evidence to show that the towns of the immigrants were largely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of King Chungryeol, as horses were grazed in Susanpyeong, and national horse raising farm started to be operated, and Mokhos for raising horses, and their family members moved to Jeju Island. They used the ports in West-south region for raising horses and exchanging with Yuan Dynasty, and lived in nearby areas, forming towns. The site of Gangjeongdong Palace seems to be the center of the immigrants from Yuan Dynasty, and the sites of Beobhwasa, Prince's tomb, and Prince's space seem to prove the fact. In the time between Yuan and Ming Transition, North Yuan lost its power and Goryeo government start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Ming Dynasty. Accordingly, Mokho communities in Jeju Island rose in revolt but General Choi Young's punitive force put down them. As the community of Mokho disappeared, the existing immigrants from Yuan Dynasty became assimilated into Jeju people through the process of relocation.

한국어

삼별초 평정후 원나라는 군사를 주둔시키면서 탐라를 군사기지로 삼고 1세기 동 안 직할령으로 지배하기 시작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계층의 원나라 주민들이 제주에 이주하여 취락을 형성하고 생활하게 된다. 탐라시대 후기의 제주는 원도심을 중심으 로 도심취락이 형성되고 동북부의 교역과 서북부의 물류생산 및 유통을 위한 취락이 자 리잡게 된다. 반면 서남부와 동남부지역은 중심취락이 조성되지 못한다. 고려시대 역 시 탐라시대 후기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서남부지역은 유물산포지가 급증하고 있다. 이 는 원 간섭기 이후 원나라 이주민들의 취락이 이곳에 집중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충렬왕 26년 서남부지역에 속현이 설치된 사실은 이주민들의 마을이 크게 성장하였음 을 의미하는 증거이다. 충렬왕 2년 수산평에 말을 방목하면서 국립목마장이 운영되기 시작하는데 당시 양마 와 관련된 목호와 그 가족구성원들이 대거 제주에 이주하게 된다. 이들은 말을 키우고 원나라와의 교역을 위해 서남부지역의 포구를 활용하였고 근처에 취락을 형성하여 생활 하게 된다. 강정동 대궐터는 원나라 이주민들의 거점취락으로 상정되며 주변에 분포하 는 법화사지, 왕자묘, 왕자터 등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원명교체기에 북원이 쇠퇴하면서 고려정부는 명과의 관계개선에 나서게 된다. 이에 따라 제주에 거주했던 목 호세력은 반란을 일으켰지만 최영장군의 토벌군에 의해 평정된다. 목호세력이 소멸되면 서 기존에 탐라에 거주하던 원의 이주민들은 재지화 과정을 거쳐 제주인으로 동화되어 간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탐라시대 후기와 고려시대의 취락
1. 탐라시대 후기의 취락
2. 고려시대의 취락
Ⅲ. 원나라 주민의 이주와 취락 형성
1. 원나라 주민의 이주
2. 원나라 이주민의 취락 형성
Ⅳ. 원나라 이주민의 정착
1. 이주민의 정착
2. 이주민의 재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주 Kim Kyoungju. 제주문화유산연구원 부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