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교생의 교사 인식 관련 예측 요인 탐색

원문정보

An inquiry for the predictive variabl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teachers

김영식, 문찬주, 박환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factors that predict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by utilizing the random forest technique for the first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Employment Panel II (2016) and examined whether the estimated model of the random forest was appropriat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more effective models among the three models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fixed-effect model, and the random effect model in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affected the positive perception of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parenting attitude,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and activities in schools,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class attitude and self-esteem, and the way homeroom teachers treat their students. It also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the random effect model wa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homeroom teachers and the fixed effect model was appropriate for predicting the perception of students on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students’ positive perception on teachers and also provided academic suggestions for a more rigorous exploration of relevant fa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 1차년도(2016년) 자료에 대하여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활용 하여, 고교생의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들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또한 모형의 예측성과를 검토함으로써 도출된 랜덤 포레스트의 추정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고교생의 담임 및 학교 교사 인식에 대한 예측력이 상대적으로 높 은 주요 변수들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 모형과 학교 고정효과 모형, 학교 확률효과 모형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세 가지 모형 중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는데 보 다 효과적인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 태도, 학교 내 진로교육·활동에 대한 만족도, 수업태도 및 자존감 등과 같은 학생 개인의 정의적 특성, 담임 선생님이 학생을 대하는 방식 등이 담임 교사 및 학교 교사들에 대한 고교생의 긍정적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임 교사 인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확률효과모형이, 학교 교사 인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는 고정효과모형이 적절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교사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하기 위 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보다 엄밀한 관련 요인 탐색을 위한 학술적 제언 또한 함께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Ⅲ. 데이터 및 분석방법
1. 분석 대상
2. 변수 설명
3.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담임 교사에 대한 인식 관련 요인 탐색
2. 학교 교사에 대한 인식 관련 요인 탐색
V.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식 Kim, Youngsik. 경남대학교 조교수
  • 문찬주 Moon, Chanju.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 박환보 Park, Hwanbo. 충남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