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행복초등학교 내부형 공모교장의 리더십에 관한 사례 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leadership of a “Hangbok elementary school”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김지선, 이해니, 박세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 question of the pros and cons of the problem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who does not have the principal's certificate and explore where such leadership came fro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ne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who does not have the principal's certificate and three teachers who have worked at the school.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Stake's (1995) 'Direct interpretation' and open coding method, based on leadership theory and power base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rincipal A decided to enroll an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based on his accountabilities as a senior teacher, his experiences in implementing the school community, and his confidence in life as a teacher through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guidance. Even after becoming the principal, he turned the senior teachers' meeting into a reading debate group, established all the members of the school as the main body to realize the sustainability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formed the school community through respect and consideration. In addition, class instruction and guidance were respected as senior teachers by junior teaching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 is characterized as follows. Principal A acts as a 'leader' to form a school community and make the members of education themselves and was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education through expert power due to instructional leadership. The principal's leadership has been nurtured and developed since the time of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realization of what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f the internal-type openly recruited school principal is, who does not have the principal's certificate,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controversy.

한국어

본 연구는 내부형 공모교장의 확대로 인한 현장의 찬반논란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 장자격증을 소지하지 않은 내부형 공모교장이 학교장으로서 보이는 리더십의 실제는 어떠한가 를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교장자격증을 미소지한 내부형 공모교장 1명과 해 당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Stake(1995) 의 ‘직접적 해석’과 개방 코딩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교장은 후배교사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지지 속에서 선배교사로서의 책무성, 학교공동체의 구현 경험, 교육철학이 있 는 수업지도와 생활지도의 실천을 통한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자신감을 토대로 내부형 공모교 장 지원을 결심하였다. 교장이 된 후에도 그는 부장 회의를 독서토론으로 바꾸고, 학교조직의 지속가능성과 교육철학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구성원 모두를 주체로 세우며, 존중과 배려를 통 해 학교공동체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지도와 생활지도는 교사들에게 도제식으로 가르침으 로써 선배교사로서의 존중을 받았다. 이를 통해 본 A교장의 리더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교장은 공동체를 형성하여 교육구성원 스스로 주체가 되도록 하는 ‘리더(leader)’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수업리더십에 기인한 전문적 권력을 통해 교육구성원에게 인정받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A교장의 리더십은 교사시절부터 길러오고 발달시켜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논란의 중심에 있는 교장자격증을 미소지한 내부형 공모교장의, 학교장으로서의 리더십이 무엇 인가에 대한 실제(實際)를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내부형 교장공모제
2. 학교장의 리더십과 권력기반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내부형 공모교장, 그의 발자취
2. 내부형 공모교장, 그의 발걸음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선 Jisun Kim. 망포중학교 교사
  • 이해니 Haenee Lee. 서울금북초등학교 교사
  • 박세준 Seijoon Park. 미주리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