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through using Cooper’s model of multiple poli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elected as the target school.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dividing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into several dimensions. The analysis found that respondents were highly aware of the value norms of education welfare on a normative level, but were less aware of lifelong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t the structural level, we could confirm that the teacher culture needed to be improved, while the operational program was well-established. On a structured level, respondents said student participa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nd thought teacher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Finally,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he project's assessment on a technical level was lacking compared to other factors. These results are taken into account to provide policy problems and improvements to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It suggested the need to provide a manual for education welfare and priority support projects for each school class an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한국어
이 연구는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통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분 석하였다. 대상학교로 선정된 초등학교, 중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여러 가지 차원으 로 나눈 후 독립표본 t검증과 다중회귀분석 을 활용하여 요인 간의 차이 및 관계를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규범적 차 원에서 교육복지라는 가치 규범을 높게 인 식하고 있었으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한편, 구조적 차원에서는 운영프로 그램이 잘 구축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교사 문화는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구성적 차원에서 응답자들은 학생 참 여가 중요한 요인이라고 답하였고, 교사 참 여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마지막 으로 응답자들은 기술적 차원에서 사업의 평가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참고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정책적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공하였다. 학교급별 교육복지우 선지원사업 메뉴얼 제공과 교사 및 학생의 참여도 증진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2. Cooper 등의 정책분석 모형과 차원별 하위 요인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 처리
Ⅳ. 연구결과
1. Cooper 등의 다차원정책분석 모형을 적용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분석
2. 학교급에 따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네차원별 차이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