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patial Analysis of Taepyeongmu's Movement : An Analysis Using Rudolf von Laban's Theory of Space Harmon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patial analysis of movement in Taepyeongmu using Rudolf von Laban's theory of Space Harmony. Laban emphasizes that 'space' can grasp the nature of movement and that while Eastern and Western perspectives may differ, it can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universality of dance. In this study, I analyse Teobeolim(터벌림, widening ground) and Olimchae(올림채, uplift). The results of the spatiality of Taepyeongmu are as follows. The major Crystalline forms are analyzed as icosahedrons in Teobeolim and as cubes in Olimchae. The results of the Effort analysis shows that Taepyeongmu displayed the Bound Flow of the lower body, while the spraying of the Hansam caused Light Weight in Teobeolim and Free Flow of the upper body is utilized elastically in Olimchae. The use of the effort is found not to be simple and uniform, but to occur in a variety of complex movements. Research of Taepyeongmu’s spatiality is not limited only in the form of perfect skill and performance that focus on the transfer of skills, but it can als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an analysis of Korean dance, allowing mor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an application of more efficient and clear movem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 1879-1958)의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태평무 공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춤에서 두드러지는 특질을 살펴보는 것에목적이 있다. 동서양의 춤은 각각 서로 다른 맥락과 사상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야 하지만 ‘움직임’에초점을 두었을 때 보편적인 분석 도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라반 움직임 분석과 관련한 연구들을통해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태평무의 공간 분석을 위해 터벌림과 올림채를 분석의 대상으로, 라반의 공간조화개념을 분석틀로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움직임 구조의 공간을 살펴보면 터벌림에서는 2차원의 공간, 올림채에서는 3차원의 공간이 주로 발견되었다. 주요 결정체(Crystalline Forms)는터벌림에서 정이십면체(Icosahedron)와 올림채에서 정육면체(Cube)로 분석했다. 에포트(Effort) 분석결과는 태평무는 하체의 절제적 흐름(Bound Flow)이 나타나며, 터벌림에서는 한삼이 자유롭게 뿌려지면서 가벼운 무게(Light Weight)가 발생하고, 올림채에서는 상체의 자유로운 흐름(Free Flow)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에포트의 사용이 단순하고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표현이강조된 움직임이 발견되었다. 태평무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는 태평무가 기능전수에 집중하여 동작 수행을 완벽하게 숙련하는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춤 분석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 다양한 해석과 의미가 있을 수있으며 좀 더 명확하고 효율적인 움직임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루돌프 폰 라반의 공간조화 이론
2. 강선영류 태평무의 기원 및 구성
Ⅲ. 강선영류 태평무의 공간 분석
1. 터벌림
2. 올림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