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owards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 A Christian Educational Response to Multicultural Phenomenon in the South Korean Context

원문정보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 : 한국의 다문화현상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응답

Heejin Cho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South Korea which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ethnic and cultural others have suffered from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nd isolation from society. Multicultural policies and multicultural public education have simply focused on the assimilation of cultural others without providing opportunities to build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Kor eans and cultural others. Noting this reality, this paper proposes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s a prophetic and educational role of faith communities in society. Inter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theology, Miroslav Volf's drama of embrace, and Sang-Jin Park's theory of the ecosystem of Christian education offer theoretical foundations for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se foundations, the paper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goal of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nd argues for the roles of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to help Christ ians "SEE" the self, the other, and the community through self-reflection, embrace, and ecological transformation. As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pursues to nurture Christians to have a respectful and hospitable mindset toward cultural others, such education will help faith communities seek a multi-colored kingdom of God.

한국어

다문화사회가 된 한국사회 속에서, 여전히 많은 인종적 및 문화적 타자들은 그들을 향한 차별과 사회로부터의 고립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한국의 다문 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은 한국인과 문화적 타자 사이의 상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지 않은 채 문화적 타자들을 사회적으로 동화시키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고는 신앙 공동체가 사회에 서 교육적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을 제안한다.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토대는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신학, 미로슬 라브 볼프의 포옹의 드라마, 그리고 박상진의 기독교교육 생태계 이론에서 찾 을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기틀을 발판으로 본고는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의 정의와 목표를 논하고,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이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자신과 타자, 그리고 공동체를 바라보며 자기성찰, 포용, 그리고 생태계적 변혁의 역할 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주장한다. 상호문화적 기독교교육은 기독 교인들이 문화적 타자들을 향한 존경과 환대적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 며, 이를 통해 신앙 공동체가 다양한 색깔을 가진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1. Immigration and the demographic change
2. The response of ethnic koreans to cultural others
III. Theoretical Foundations for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1. Intercultural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 education
2. Intercultural theology as a paradigm shift
3. The drama of embrace
4. The ecosystem of Christian education
IV. Towards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1. The definition and goal of intercultural Christian education
2. To SEE the self, the other, and the community
V.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 초록

저자정보

  • Heejin Choi 최희진. Ph.D. Student, University of Toronto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