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통도사 진영에 표현된 가사의 구성과 특징

원문정보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Kasaya in the Portraits of Eminent Monks at Tongdosa Temple

이선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rtraits of eminent monks are valuable to the study of kasaya(the outer garment worn by monks) in that they realistically reflect how monks wore these robes. Most kasaya depicted in the portraits of monks at Tongdosa Temple are red and resembles patchwork comprised of vertical stripes with bands sewn between the stripes. Decorative patches embroidered with the Four Heavenly Kings are also attached at the four corners of kasaya. The monks in the portraits wear their kasaya draped over the left shoulder and fastened with ornaments and rings. The kasaya styles depicted in the Tongdosa monk portraits appear in Kore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period, which indicates their long history. Kasaya changed from an outer garment made of rags to a patchwork outer garment, and it came to be divided into three or five types. Such changes in kasaya were documented in rules and regulations for monastic conduct, including Sifen lü(Four-Part Vinaya) and Misha saibu hexi Wufen lü(Five-Part Vinaya). The structures, colors, meanings, and methods of wearing kasaya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se monastic rules and regulations. Kasaya can clearly be considered significant religious garments embodying Buddhist thoughts. The styles of kasaya reflect religious precepts and can be observed not only in kasaya depicted in the Tongdosa portraits of eminent monks, but also in the present-day Korean versions. Color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designation of kasaya since kasaya also refers to a shade of brown(goesaek or bujeongsaek). However, most kasaya in the Tongdosa portraits are red, as is the case with those worn by contemporary Korean monks. Moreover, they differ from descriptions of kasaya in monastic regulations in that the former are worn with other garments, including robes and undergarments. Monastic regulations forbid monks from wearing additional clothing other than the three or five types of kasaya. Such differences may have arisen from Buddhism’s process of adaption to the distinctive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of Korea. Therefore, the kasaya depicted in the portraits of eminent monks at Tongdosa Temple hold great importance for embodying Buddhist precepts and symbolism as well as distinctive Korean traditions.

한국어

가사 연구에 있어 진영은 당시 스님들이 착의했던 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통도사 소장 진영에 표현된 가사는 대부분 홍색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조와 엽을 갖춘 전상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사천왕첩을 부착하였으며, 영자와 고리를 이용하여 편단우견으로 착의하고있다. 이러한 진영에 표현된 가사의 형식은 삼국시대 이래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가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그 역사가 상당히 오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가사는 분소의에서 할절의, 삼의와 오의의 구성 등으로 변화되었으며, 이 모든 과정은 계율에 의거하였다. 가사의 구성형식, 색, 착의법, 그리고 그 의미까지 계율의 내용에 따라 정립되었다. 따라서 가사는 불교의 사상을 담은 중요한 종교복식이라 할 수 있다. 가사의 계율이 반영된 가사의 형식은 진영에 표현된 가사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우리나라 가사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괴색, 부정색 등의 일정하게 정해지지 않은 것을 ‘Kasaya’라 하여 가사의 명칭에 색이 차지하는 의미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진영과 현존 가사들은 대부분 홍색이다. 또한 삼의와 오의 이외에 다른 것을 금하고 있는 것에 반해 장삼과 내의(內衣) 등의 다양한 복식을 갖추고 있어 차이가 있다. 이는 불교가 전래된 각 나라마다 지니고 있는 고유한 문화와 자연환경 등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형식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진영에 표현된 가사는 가사의 계율과 상징성, 그리고 변화된 고유성을 모두 투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계율의 변화와 가사의 구성
Ⅲ. 통도사 진영에 표현된 가사의 구성과 착의법
1. 가사의 구성
2. 가사의 착의법
Ⅳ. 한국 가사의 전개와 특징
1. 중국식 의제(儀制)의 수용과 홍색 가사의 정착
2. 한국 가사의 구성과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용 Lee, Seon-Yong.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