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을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도상과 신앙

원문정보

The Iconography and Religious belief of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Seen through the Vairocana Buddha statues in Seongnamsa(temple)

서지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at was found to have been made in the second year of Yongtai(永泰)(766) is widely known as the initial work of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particular, since no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 made earlier than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India or China has been identified, there have been discussions from diverse viewpoints on whether the image was created in Silla or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this paper,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the hand mudra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follows the form of the bodhtagri-mudra described in the 『Zhufo jingjie shezhenshijing(諸佛境界攝眞實經)』 as it 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not made by modeling the maha-vairocana in vajradhatu images that were introduced from surrounding countries but was independently created in Silla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Monks’ scripture. In addition, by directly comparing the images of main Buddha statues in in Tunhuang Mogao Cave no. 44 and those in the main Buddha statues in produced in the Wu Dynasty and Northern Song Dynasty periods with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is study presented new grounds that support the theory that 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 images were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India and China that were mentioned as grounds for the theory that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were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related literature data were reviewed again in general but no example that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fou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s were indewpendently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since the originators and constructors of the Seongnamsa (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the period of formation are estimated to be the Flower Boys(Hwaranngdo) and Buddhist monks, respectively, this study regarded that the styl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could be shared with the Buddha statues in the capital of Sill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a result of reflection of Hwaeom Buddhism’s pureland-belief what was popular at that time and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nd was praying for the repose of Duonaerang's soul while praying that the people would realize the nature of Buddha in their inner side so that they be reincarnated in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한국어

永泰2년(766)에 제작된 것으로 밝혀진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은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始原作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석남사 비로자나불상 보다 앞서 제작된 인도나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이 확인된 바 없어서 이런 도상이 신라에서 창안된 것인지 아니면 전래된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수인이 『제불경계섭진실경』에 서술된 지권인의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 형태를 볼 때 주변국가 에서 전래된 금강계 대일여래상 등을 모본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에서 중기밀교 경전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창작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돈황 막고굴 제44굴의 성당대 <화엄칠처구회도>를 비롯하여 오대와 북송대에 제작된 <화엄칠처구회도>의 주존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 도상이 신라 창안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전래설의 근거로 거론되었던 인도와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들과 관련 문헌자료들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한 결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과 직접 비교될 수 있는 예는 없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은 신라에서 독자적으로 창안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상기 중의 발원자와 조성주체가 각기 화랑과 승려낭도로 추정되기 때문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같은 시기 왕경지역의 불상 들과 불상양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성목 적은 당시에 유행하던 화엄정토신앙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신앙이 반영된 결과로써 두온애랑의 추복과 더불어 중생들이 내면의 불성을 깨달아서 연화장세 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이러한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배경은더 나아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특수성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도상 및 양식특징
Ⅲ.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도상 성립
1. 중기밀교의 전래와 『80화엄경』주존 비로자나불상 도상의 성립
2. 인도 및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과의 비교, 검토
Ⅳ.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서지민 Seo, Ji-Min.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