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motion Management & Government Trus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trust and emotion management.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emotional management and government trust were review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cognition did not affect group emotion. Second, emotional expression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forming group emotion. Third, the emotional expression factor was analyzed a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all subfactors of government trus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actors and behavioral factors of government trust independently influenced group emo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motion management and trust in the macroscopic level, no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confirmed that people's emotions could be managed. The study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roup emotion, emphasizing that people's emotion could be the level of government trus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신뢰와 감성관리의 관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 성관리와 정부신뢰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검토하고, 각 변수간의 관계성을 구조방정식 모 형을 통해 검증했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인지 요인이 집단 감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감성표현 요인은 집단감성 형성에 가장 중요한 변수 였다. 셋째, 감성표현 요인은 정부신뢰의 모든 하위요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 분석되었다. 넷째, 정부신뢰의 인지요인과 행동요인은 독립적으로 집단감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의의는 조직수준이 아닌 거시적 차원에서 감성관리와 정부신뢰의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였으며, 국민의 감성이 관리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민들의 감성상태가 곧 정부신뢰의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 면서 집단감성의 중요성을 연구를 통해 부각시켰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의 검토
1. 정부신뢰의 개념과 의의
2. 감성의 개념과 감성관리 연구의 경향
3. 감성관리와 집단감성
Ⅲ. 분석틀의 설정 및 조사설계
1. 분석틀 설정
2. 분석변수 및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의 논의
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2. 영향요인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