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잊힐 권리 실현방안의 모색 - 언론피해구제방안으로 기사삭제청구권에 대한 고찰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ight to Request for Article Deletion

정애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ernet, an expression-promoting medium, provides a place to share and communicate various information.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dissemination of expression through the Internet, it can also cause damage persistently. The advent of the digital age also changed the media environment and new laws in response to i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ealize the media’s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and forming public opinion but also to protect the individual’s privacy and honor. It should also be guaranteed that the right to privacy will not be subject to third-party interference or social attention on the internet. However,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objection to the current legislation is no longer sufficient to protect human rights. Some victims prefer the deletion of their articles rather than correction. This essay proposes to add a request for deletion—as well as correction, objection, and future reporting—of false articles as a remedy for its media coverage to give media organizations more prudent responsibility. This differs from fake news regulation—which restricts the media only—and from the European Union (EU)’s right to be forgotten—in which fact-based articles are accepted on the premise that the information disclosure profit has been reduced or destroyed over time. The deletion of articles significantly limits freedom of expression, so strict requirements and harmony should be sought. The media is the institutional force that mediates the political process between the people and the state and leads public opinion formation. Clearly, if a media organization’s false article consistently infringes on an individual’s honor and privacy, the deletion of the article is required. However, the victim and the person claiming to delete the article are responsible for proving its falsehood, while the author or interested party maintains the article or information. To minimize press freedom violations, the opportunity to assert reasons or necessities to survive is required.

한국어

표현촉진적 매체인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었다. 한편 인터넷을 통해 유포된 표현은 빠르게 확산되고 이로 인한 피해는 지속적이다. 말 그대로 “인터넷은 잊지 않는다.” 디지털 시대의 도래는 언론의 환경도 변화시켰고, 이에 대응할 새로운 법적. 제도적 장치의 모색이 필요하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과 여론의 형 성이라는 언론 본연의 목적실현과 개인의 사생활 및 명예가 보호될 수 있도록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제3자의 간섭 또는 사회의 주목을 받지 않을 사생활 권리는 인터넷상에서도 보장받아야 한다. 그러나 변화 된 미디어 환경에서 현행 법제상 마련된 반론권의 보장은 인격권 보호에 충분하지 않다. 무수히 유포되고 재생산되는 모든 기사에 대한 정정 또는 반론 보도가 실질적으로 가능한지도 의문이며, 더욱이 피해자의 입장에서 정정 또는 반론보도를 통한 명예회복보다 관련 기사가 더 이상 회자되지 않기를 바라는 경우가 더 많다. 본 글은 언론보도에 대한 피해구제방안으로 정정・반론・추후보도청구뿐 만 아니라 진실이 아닌 기사에 대하여 잊힐 권리의 실현으로 기사삭제청 구를 추가할 것을 제안한다. 넓은 의미에서 잊힐 권리는 잊히기 위하여 정보 또는 기사의 접근배제 및 삭제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로 해석할 수 있다. 스스로 공개한 정보에 대한 잊힐 권리 이외에 제3자에 의해 공개된 정보 또는 기사에 대한 잊힐 권리는 법익형량 아래 실질적 인정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기사의 삭제는 표현의 자유의 중대한 제한이므로 엄격 한 요건 하에 인격권 보호와 조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글에서 주장 하는 기사삭제청구권은 언론이 그 주체가 되어 작성한 기사에 한정함으 로써 가짜뉴스 규제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적법한 사실에 기반한 기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정보공개의 이익이 축소 또는 소멸되었음을 전제로 인정하는 유럽연합의 잊힐 권리와도 구별된다. 언론매체는 국민과 국가 사이에서 정치적 의사형성과정을 지배하는 세 력으로서 여론형성을 주도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언론기관이 명백히 진실 이 아닌 기사로 개인의 명예 및 사생활을 지속적으로 침해하고 있다면, 피해자의 입장에서 기사의 삭제를 통해 침해의 원인을 제거할 것을 요구 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기사삭제를 인정하는데 있어 허위성에 대한 증 명책임은 피해자이자 기사삭제를 청구하는 자에게 부여하고, 기사작성자 또는 이해당사자에게 그 기사나 정보가 유지·존속되어야 할 이유나 필요성을 주장할 기회를 부여하여 보도의 자유 침해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잊힐 권리의 개념과 구체적 실현
1. 유럽사법재판소의 구글 판결이 인정한 잊힐 권리
2. 유럽연합 일반개인정보보호규칙에서 보장하는 잊힐 권리
3. 현행 우리 법제상 실현된 잊힐 권리
4. 유럽의 잊힐 권리 국내적용 검토와 언론피해구제수단으로서의 기사삭제권
Ⅲ. 기사삭제인정 사례검토와 기사삭제의 타당성
1. 대법원의 기사삭제 인정 판결소개 : 상당성 이론의 배제
2. 기사삭제 인정의 타당성 검토
Ⅳ. 기사삭제청구권의 요건
1. 삭제의 대상 및 범위
2. 표현내용이 진실이 아닌 기사
3. 명백하고 중대한 개인적 법익침해의 지속
4. 기사작성자의 권리구제절차방안 마련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애령 Jung, Ae-ryung.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초빙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