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탈진실 시대의 페이크뉴스(또는 허위조작정보·디스인포메이션)와 팩트체크, 그리고 인격권

사람들은 왜 쉽게 속아 넘어가는가? - 행동경제학 관점에서 살펴본 가짜뉴스의 심리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Why do people fall for fake news? - The psychological theory of fake news from the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

이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reasons and mechanisms behind people’s undoubted belief and unhesitant dissemination of fake news through the application of economist and cognitive psychologist Herbert Simon’s “bounded rationality” and Tversky and Kahneman’s various behavioral economics theories. The main psychological mechanisms behind people believing fake news are the following: availability bias, believing what easily comes to mind; base rate neglect, inferring probabilities based on results that appear; anchoring bias, basing judgments on clue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true or false; hindsight bias, overinterpreting that the result was predicted in advance, saying, “I knew it”;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s, distorting the problem’s nature by attributing it to an individual; prospect theory, responding more sensitively to negative change than positive change; framing bias, misinterpreting the message’s authenticity because of the manner of expression; conjunction fallacy, interpreting content differently when a situational story is constructed reasonably; and nudge effect, being easily deceived by a person’s messages. To properly understand the fake news phenomenon, the study suggested the theoretical framework’s extension from existing social psychology to behavioral economics, which focuses on human behavior’s irrationality.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control of fake news necessitates an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reasons and mechanisms behind believing fake news.

한국어

이 연구는 사람들이 어떤 이유 때문에 허위사실을 의심 없이 믿고, 이 를 확산시키는 데 주저하지 않는가하는 심리적 기제에 주목했다. 본 연구 는 이를 위해 경제학자이자 인지심리학자인 사이먼(Simon)이 제시한 “제 한된 합리성”개념과 행동경제학자 트버스키(Tversky)와 카네만 (Kahneman)등이 제안한 행동경제학의 다양한 이론을 적용해 사람들이 가짜뉴스를 믿는 심리적 이유와 기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람들은 머릿 속에 쉽게 떠오르는 것을 중심으로 믿는다는 가용성 편향, 기본 확률을 무시하고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확률을 추론하는 기저율 무시, 누군가가 어떤 단서를 제시하면 그것이 참이든 거짓이든 관계없이 이를 중심으로 판단한다는 기준점 편향, 사실의 진위여부와 관계없이 결과를 확인한 뒤 “내 그럴줄 알았다”는 식으로 마치 사전적으로 그 결과를 예측했다고 과 잉 해석하는 사후확신 편향, 상황적 스토리를 그럴싸하게 구성해 제시하 면 그 내용을 전혀 다르게 판단하는 결합오류, 어떤 사건의 책임을 개인 에게 귀인함으로써 문제의 본질을 왜곡하는 기본적 귀인오류, 사람은 긍 정적 변화보다 부정적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전망이론, 메시지 의 미묘한 표현에 따라 사안의 실체나 진위를 그릇되게 해석하는 프레이 밍 편향, 누군가가 슬쩍 개입하거나 끼어들어 제시하는 메시지나 단서에 쉽게 속아 넘어가는 넛지 등을 사람들이 가짜뉴스를 믿는 주요한 심리적 기제로 보았다. 본 연구는 가짜뉴스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기존 의 사회심리학에서 인간행동의 비합리성에 주목한 행동경제학 쪽으로 이 론적 틀을 넓혀 보자는 점을 제안했다. 아울러 가짜뉴스를 통제하기 위해 서는 가짜뉴스를 믿는 사람들의 심리적 기제와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선 행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적합한 규제정책 수립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목차

국문초록
1. 연구목적
2. 연구배경
1) 가짜뉴스의 심리학적 연구에 대한 제한점
2) 가짜뉴스 해석틀로서의 행동경제학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내용
1) 가짜뉴스와 심리적 요인
2) 가짜뉴스에 대한 판단과 평가
3) 가짜뉴스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이론 사례
5. 결론과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완수 Lee, Wan-soo. 동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