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혐오표현과 사회적 갈등 그리고 미디어 역할

혐오표현물의 온라인 확산에 대한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의 책임

원문정보

ISP's liability for Online Distribution of Hate Speech Contents

고흥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abilit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s (ISPs) for hate speech in an online environment. Hate speech is a social problem in the Internet environment that has dramatically changed the media ecosystem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Initially,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hate speech and other concepts related to foreign law cases and examined ISPs' user guidelines for regulation, as well as their terms and policies. ISPs differ in terms of user guidelines, sanctions for deletion, and service direction. However, all ISPs similarly prohibit expression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others. With regard to ISPs' duty to exercise caution, they possess the highest level of control over hate speech content, particularly in web communities and personal media channels of single creators (e.g., YouTube and/or Africa-TV, which represent a unique type of over-the-top (OTT) media service), to which third parties have the highest access. The second highest level of accessibility and control among the four ISP types belongs to general OTT service types and Internet cafes/blogs of Internet portal sites such as Kakao-TV and Naver-TV, which simultaneously provide users content generated by other program providers and that produced by related agencies. Similarly, operators of Internet cafes/blogs can also control hate speech content. Unlike these service providers, ISPs of social media type have minimal responsibility to exercise caution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hate speech content because the key function of social media is to facilitat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mong users. This study deliberates the social issue of hate speech that is generated, distributed, and diffused from ISPs' service space according to the rapid diffusion of mobile Internet. The study also typifies the level of ISPs' control and accessibility to third parties by classifying service typ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types of IPSs and subdivides the degree of their duty to exercise caution to prevent personal defamation based on hate speech.

한국어

이 연구는 급속한 인터넷 기술 발달로 인해 미디어 문화 생태계가 큰 변화를 겪고 있는 환경에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혐오표현물에 대한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의 책임에 대하여 그 유형에 따라 종합적으 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논의되어 왔던 혐오표현에 대한 개념적 논의와 국내외 입법례를 간략히 검토하고, 혐오표현물이 생성, 유 통되는 인터넷 공간에서 ISP유형을 웹 커뮤니티 사이트 유형, 포털 서비 스의 카페/블로그 유형, OTT 서비스 유형, 소셜미디어 유형 등으로 구분 하고 그 유형에 따라 각각의 게시물에 대한 관리 감독 규정을 살펴보았 다. 각 유형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경우, 게시물에 대한 삭제(혹은 폐쇄) 등에 대한 제재조치, 이용약관, 개별 운영 지침 등 은 다소 차이는 있지만, 타인의 권리 침해에 관련된 표현물을 금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ISP 유형에 따라 웹 커뮤니티 사이트 유형과 유튜브/아프리카TV와 같은 1인 창작자의 개인 미디어 채 널의 경우, 제3자의 접근성도 높은 반면, ISP의 통제권한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주의의무가 요구된다고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방송영상 콘텐츠를 수급하여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와 1인 창작자 개인 채널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카카오TV나 네이버TV 와 같은 OTT 서비스 유형의 ISP와 카페/블로그와 같은 별도의 운영자에 게 권한을 위임하고 있는 ISP 유형(포털 서비스 유형)의 경우에게도 일정 수준의 주의의무가 요구된다. 이와는 달리, 소셜미디어 유형의 ISP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주의의무가 요구되며,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 기 능이 핵심 서비스인 경우에는 ISP에게 주의의무를 요구하기 어렵다고 보 았다. 이 연구는 모바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확산에 따라 혐오표현물의 생성과 유통, 확산의 사회적 심각성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하였으며, 다양 해지고 있는 ISP 유형에 따라 통제권한의 수준과 제3자의 접근가능성을 유형화하여 ISP에게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세분화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혐오표현의 개념적 논의
1. 혐오표현의 등장과 개념화
2. 혐오표현 규제에 대한 국・내외 입법례
Ⅲ. 인터넷서비스 유형과 혐오표현물에 대한 관리 형태
1.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 혹은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
2. 웹 커뮤니티 유형
3. 포털 서비스의 카페/블로그 유형
4. OTT 서비스 유형
5. 소셜미디어 유형
6. 소결: ISP 역무와 표현물 관리・감독 권한에 따른 유형화
Ⅳ. 혐오표현물에 대한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책임
1. 공동불법행위책임 또는 방조책임
2. 예방적 금지의무와 주의의무
3. ISP에 대한 면책조항
4. 소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흥석 Koh, Heungseok.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외래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