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판례평석

[판례평석] 범죄사건 보도로 인한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검토 - 대상판결 : 대법원 2016. 5. 27. 선고 2015다33489 판결 -

원문정보

Review of the Responsi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Resulting from Crimes Reports

류영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dia reporting on crimes is, in principle, a recognized public interest because it informs the community members of the crimes taking place therein. It also raises their awareness of the crimes and enables critical discussions on related social norms.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recent MeToo phenomena, media reporting and its agenda-setting and monitoring functions are used by crime victims with weak social status in whistle-blowing on the more powerful perpetrators, where discriminatory social structure and distrust in criminal justice system discourage such act. Media not only fulfills people’s right to know but also protects victims’ rights and reveals the power elites’ corruptions. However, these benefits of crime reporting can also threaten the accused’s reputation, privacy, and other personality rights, right to fair trial, and righ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Some reports do not cite the inflammatory expressions of the supposed victims or accusers; unfavorably edit the accused’s former offenses, private lives, personalities, and reputation irrelevant to the crime; spread the testimonies, confessions, and alibis of the accused and important witnesses right before or after the trial; or disclose confidential information from investigating authorities to place the accused at a disadvantage. These reports, even if truthful, lowers the social worth of the accused by depicting him/her in false light, infringes his/her privacy, “presumes” him/her guilty, and thereby forces him/her to impeach the unfavorable reports on him/her and self-impeach his/her careless remarks reported in the media. In Korea, libel has always been recognized as the offense that results from illegal acts by the media reporting on crimes. As a result, the right to fair trial or the righ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loss of illegal activity. No independent compensation is made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fair trial or the righ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protection of the right to reputation and the right to fair trial or the righ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Furthermore, the requirements that control the standards of reporting on crimes to prevent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fair trial or the right to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were not addressed in detail. In the instant case, the court found that the media reported the accuser’s assertions without any filtering and thereby spread distorted images of the plaintiff, which resulted in defamation. The ruling does not announce a new law, but it does send a warning to indiscriminate crime reporting,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a long time. This case also recognizes defamation as a loss of illegal activity, but the case dealt with a crime report before the trial and the immunity requirements mentioned by the case are also necessary to ensure the right to fair trial. With the instant case as an example (1), this paper reviewed, the legal interests infringed by crime reporting (2) and the defenses necessary to exempt crime reporting from liability for such infringement. The author particularly reanalyzes the instant case in terms of the right to fair trial and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proposes a new standard of care to be established to avoid their infringement.

한국어

범죄사건에 대한 보도는 사회에서 발생한 범죄사실을 구성원들에게 알리고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며 범죄를 둘러싼 사회 규범에 대한 비판적 토론을 가능하게 하는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므로, 원칙적으로 공익성이 인정된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미투(Me too)’ 사건처럼 차별적 사회구조 및 형사사법구조의 불신 하에서는 사회적 약자인 피해자가 사회적 강자인 가해자를 고발하면서 공정한 재판절차를 촉구하기 위해 언론의 공론 형성 기능 및 감시기능을 이용하기도 한다. 언론은 범죄사건을 보도하면서 단순히 국민의 알 권리만을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의 권리구제, 권력의 부패 고발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범죄사건 보도의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범죄사건 보도는 어떤 보도보다도 피혐의자의 명예ㆍ사생활 등의 인격권 침해,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를 위협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피해자(고소인)의 주장만을 자극적인 표현으로 정확한 인용 표시 없이 내보내는 보도, 사건과 관련 없는 피혐의자의 전과ㆍ사생활ㆍ성격 및 평판 등을 편향적으로 편집하여 내보내는 보도, 피혐의자나 주요 참고인의 재판 전후 진술ㆍ자백ㆍ알리바이 등을 내보내는 보도, 수사과정에서 수사기관이 일방적으로 비밀리에 유출하는 수사정보를 내보내는 보도 등은 비록 사실을 적시하였다고 하더라도 피혐의자에 대한 왜곡된 인상을 퍼뜨려 피혐의자의 사회적 가치를 저하시키고, 사생활을 침해하며, 무엇보다 피혐의자가 재판 전에 이미 유죄로 추정되고 자신에 대한 불리한 보도와 보도과정에서 무심코 한 발언 등을 탄핵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끔 만든다. 대상판결은 사실을 적시한 범죄사건 보도에 대하여 고소인의 주장만을 여과 없이 보도하여 원고에 대한 왜곡된 인상을 퍼뜨렸다면 명예훼손 책임이 인정된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이 범죄사건 보도에 대한 새로운 법리를 판시한 것은 아니지만,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던 무분별한 범죄사건 보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경종을 울린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이 평석에서는 위 대상판결을 기초로 하여 ① 범죄사건 보도로 인해 침해되는 법익을 살펴보고, ② 위 보도의 위법성이 조각되어 면책되기 위한 기준들을 침해 법익별로 살펴보았다. 특히 범죄사건 보도에 대하여 그간 우리 사회에서 피해법익으로서 명시적으로 인정되지 아니한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 위주로 대상판결을 재분석하였고, 그 결과 앞으로 범죄사건 보도에 대해서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가 피해법익으로 인정될 가능성 및 기존 명예훼손에 대한 위법성 조각 법리 이외에도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지 아니하기 위하여 특히 주의하여야 할 기준을 새로 정립하여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대상판결의 사실관계 및 판시 요지
1. 대상판결 : 대법원 2016. 5. 27. 선고 2015다33489 판결
Ⅱ. 평석의 쟁점 정리
Ⅲ. 범죄사건 보도로 인하여 침해될 수 있는 피해법익 검토
1. 의문의 제기
2. 대상판결에서 인정된 침해 법익의 검토
3. 대상판결의 검토
Ⅳ. 범죄사건 보도에 있어서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또는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 위반 문제 검토
1. 서론
2.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
3. 해당 사건의 검토
Ⅴ. 면책 기준 검
1. 서론
2.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또는 무죄추정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의 면책 요건
3. 형사 사건 보도에 있어서의 언론사의 주의의무와 면책요건 검토 및 제시
4. 대상판결의 면책요건 검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류영재 Ryu, Young-Jae. 춘천지방법원 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