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뉴스 플랫폼 다변화와 인격권 보호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및 인격권의 보호

원문정보

Protection of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Righ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정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s make it difficult for people to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once it is available online. Personal information has proliferated on the Internet in recent years, as have the issues and problems that surround it.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is understood as a right to information privacy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it is recognized more as a personal right in Germany. Decisions on whether information should be removed from search engines depend on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in question, its sensitivity for the information subject's private life, and the interest of the public in having that information. The so-called “right to be forgotten” has become a firestorm of controversy in today’s Digital Age. Indeed, in the context of a constantly-evolving medium such as the Internet, the shared context of concepts such as privacy and data protection is limited. The EU drafted a right to erasure(a right to be forgotten) law providing an avenue for EU citizens to ask online search engines to remove certain links from their results. If a way can be found for it to be implemented, the right to delete could have a very positive impact, giving individuals more control over their data and hence more autonomy. Protection of personal data and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personal rights. Personal data are inseparable from the information subject and making the decis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s a manifestation of one’s personality. Personal information has certain similarities to personal rights in the field of civil law. However, considering that in reality personal information is circulated and used economicall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personal right that also protects property. A standard for balancing conflicting interests in erasure rights is similar in structure to injunctive relief for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and the Act on Press Arbitration and Remedies, Etc., for Damage Caused by Press Reports provide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r dele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se acts were enacted based on a prohibitory injunction related to personal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Civil Act does not directly regulate personal rights, but an owner may demand the cessation of disturbance from a person who disturbs his/her personal rights, and may demand either prevention of the disturbance or security for damages from the person who might disturb his/her personal rights by applying the article 214 of the Civil Act. Changes should be made to the Civil Act to provide general provisions for personal rights to achieve broader protection. Thus far, considerable effort has been invested into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rights. Nevertheless, a great deal of work remains to expand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 rights in the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한국어

현대 사회에 있어 언론보도의 내용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해당 내용들은 온라인상에 데이터로써 축적되고, 내구성과 원본 복원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에 관한 삭제권 내지 잊혀질 권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게 되었다.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정보 프라이버시권의 개념을 발전시켰고, 독일의 경우 일반적 인격권의 한 내용으로서 정보자기결정권 내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였는바, 개인정보는 오히려 사법의 영역에서 인격권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것이며, 다만 경제적으로 유통ㆍ이용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재산적 이익 또한 보호하는 특수한 인격권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개인정보는 해당 정보주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개인정보의 공개와 이용에 대해 결정하는 것 자체가 인격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고, 삭제청구권의 경우에 사용되는 비교형량의 구조는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권과 유사하다.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등에서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내지 삭제청구권을 규정하면서, 실질적으로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권의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우리 민법에서는 인격권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바, 소유권에 기한 방해배제 내지 예방청구권(제214조)을 본떠, 일반법인 민법에 우선 일반적 인격권에 관한 일반규정을 둠으로써 보다 폭넓은 보호를 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보호받아야 하는 권리가 새롭게 등장하고 권리침해의 형태가 다종다양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이를 개별적으로 규율할지를 정하기에 앞서 포괄적인 법리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에 기초한 삭제청구권 내지 잊혀질 권리는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권과 맞닿아 있는 부분이 있는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대하여 인격권 침해로 인한 금지청구권을 인정하기 위해 정보주체의 이익(인격권)과 그 정보에 접근하는 일반대중의 이익(언론의 자유)을 비교형량함으로써 논의의 접점을 찾아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논의의 출발점
Ⅱ. 개인정보 보호 논의의 전개
1. 프라이버시권의 등장 및 발전
2. 미국의 정보 프라이버시권
3. 독일의 인격권에 기한 정보 자기결정권
4.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의 법적 성격 검토
Ⅲ. 개인정보에 관한 인격권 침해
1. 인격권 침해에 대한 사법적 구제수단
2. 잊혀질 권리 논의의 촉발
3. 유럽 각국에서의 논의
4. 유럽에서의 통합법제 논의
5. 미국에서의 논의
6. 일본에서의 논의
Ⅳ.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1.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법제 동향
2. 잊혀질 권리에 대한 하급심 판례(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9. 11.선고 2013고합577 판결)
3. 기사삭제청구권에 대한 대법원 판례(대법원 2013. 3. 28. 선고2010다60950 판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다영 Jeong, Da-young. 변호사 /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