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대피경로 산정을 통한 초고층 건축물의 침수 대피 방안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lan of Inundation Response of Skyscrapers with Evacuation Route Calculation

김준하, 김태헌, 정재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In this study, the authors propose a flood evacuation plan for skyscrapers with law related to underground space of skyscrapers,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derground space flood case study and simulation test. Method: This study compares the evacuation pattern of various case from flooded underground spaces extending over several floor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evacuation routes with . Also, simulation test was performed by setting up the virtual underground spaces consisting of three-stories basement and changing the number of the ground entrance, area of the basement and the flooding heights of the basement.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inundation risk even if there was an area corresponding to risk level 4. This is because the risk in the starting area is greater than that in the evacuation route. Especially, even if the risk of evacuation route increases with time, there is no change in route because the route must be passed to reach the evacuation site.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the inundation risk. However, if the size and shape of the underground space of each building is different, the depth of inundation with time may be different.

한국어

연구목적: 초고층 건축물 지하공간 관련 법령, 국내외 지하공간 침수사례 및 침수 시뮬레이션으로 대피 경로를 산정하여 초고층 건축물의 침수 대피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 법: 초고층 건축물 지하공간 관련 법령 및 국내·외에서 발생한 지하공간 침수사례를 바탕으로 Test Bed 를 활용한 침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대피경로를 파악하였으며,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지하공간 침 수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위험도 레벨 4에 해당하는 지역이 존재함에도 침수위험도에 따른 대피경로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 대피 출발지점에서 위험도가 높아 기존 대피경 로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며, 위험도가 적은지역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험도가 높아져도 결국 그 지 역을 신속히 지나야 대피장소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경로 자체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도에 따른 대피경로의 차이가 없었으나, 건축물 별 지하공간의 규모와 형태가 상 이한 경우, 시간에 따른 침수심의 변화가 다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침수심 변화에 따라 피난 경로 또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경로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피난경로 에 대해서는 건축물에 따라 상세한 재분석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본론
지하공간 침수 관련 법령 분석
국내외 지하공간 침수 사례 분석
침수 시뮬레이션 테스트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준하 Joon-Ha Kim. Senior Researcher, Team Manager, Safety Research Team,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 김태헌 Tae-Heon Kim. Associate Researcher, Safety Research Team,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 정재욱 Jae-Wook Jung. Director,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oul,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