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xpansion of agenda-setting theory focused on in-depth reporting
초록
영어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news media’s agenda-setting by expanding the news media’s reporting method and audience's responses in multiple dimensions. The reporting method was divided into news story counts, reporting period, and in-depth reporting, whereas the audience’s response was reorganized into four steps of exposure, memory, perceived importance, and engaging in conversation.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media coverage and audience response on 15 social issues, and conducte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o observe agenda similarity among 17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news stories and the level of in-depth report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udience's response while the reporting period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erms of media, the agenda-setting effect of TV news was stronger than that of newspapers. Interestingly, Chosun-Ilbo, Hankyoreh-sinmun, and Kyunghyang-sinmun did not show significant agenda setting effects. The analysis of media’s agenda similarity also showed interesting results. It found noticeable differences in agenda coverage between TV news and newspapers, general newspapers and economic newspapers, and conservative media and liberal medi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etical expansion of agenda-setting studies, and called attention to the significant effect of in-depth reporting on new media’s agenda setting.
한국어
본 연구는 뉴스 미디어의 보도 방식과 수용자의 반응을 다차원으로 확장해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보도 방식은 기사 횟수, 보도 기 간, 심층보도 수준으로 세분화했으며, 수용자 반응은 노출, 기억, 중요도 인식, 대화의 세부 단계로 설정했다. 방법론상으로, 본 연구진은 15개 사회적 이 슈에 대해 미디어 보도와 수용자 반응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차원척도법 분석을 실시해 의제설정 효과와 의제 유사성 정도를 확인했다. 분석 결과, 기 사 횟수와 심층보도 수준은 중요도 인식을 포함한 수용자 반응에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친 반면, 보도 기간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디어 가운 데에서는 TV 뉴스의 의제설정 효과가 신문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정 치성향이 뚜렷한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이 유의미한 의제설정 효과 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TV 뉴스와 신문, 종합지와 경제지, 진보 미디어와 보수 미디어 사이에 의제 보도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의제설정 연구의 확장에 기여할 뿐 아니라 심층보도의 효과를 의제설 정 관점에서 재발견한 의의를 갖는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의제설정 효과의 단계: 노출, 기억, 중요성 인식, 대화
2) 미디어의 의제설정 방식: 기사 횟수, 보도 기간, 심층보도
3) 미디어 간 의제 유사성과 차별성: 미디어 플랫폼, 조직 목표, 정치성향을 중심으로
3. 연구문제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