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2017~2018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Production Facilities for Severe Disabled Products : Focus on the 2017-2018 survey

양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the production facilities of severely impaired products for two years from 2017 to 2018,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for the severely disabled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y. As of June 2018, 267 out of 544 sites were research and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 average number of severely disabled workers is 16.51, and the total number of workers, disabled workers who participated in direct production, and non-disabled workers showed the trend of increase in 2018. Second, the average monthly wag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direct production increased slightly from 790,977 won in 2017 to 829,810 won in 2018. Third, Analysis of changes in sales of production facilities before and after designations showed that overall sales of production facilities increased after designations and after designations.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preferential purchase rate improvement and support for production facilities and purchasing public institutions, classification of roles of performance organizations, Clarification of the role of priority purchasing promotion committee for products produc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complementing the minimum wage exclusion system.

한국어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현황을 조사하고, 이전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8년 6월 기준 544곳 중 267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증장애근로자는 평균 16.51명이며, 전체 근로자현황에서 2017년보다 2018년에 심사기준상 전체 근로자, 직접생산에 참여하는 장애인근로자, 비장애근로자가 대부분 증가추세 를 보였다. 둘째, 직접생산에 참여하는 장애인근로자는 월평균 급여가 2017년 790,977원에서 2018년 829,810원으로 다소 증가추세를 보였다. 셋째, 생산시설 매출현황에서 지정 전후의 매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지정받기 전보 다 지정받은 해, 지정받은 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우선구매율 향상, 생산시설과 구매 공공기관에 대한 지원, 업무수행기관의 역할 분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촉진위원회 역할 명확화, 최저임금적용제외 제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관련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4.1 생산시설 일반현황
4.2 생산시설 근로자 현황
4.3 전체 근로자 임금 현황
4.4 생산시설 매출 현황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양재희 Jae-Hee Yang.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