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중학교 통합체육을 위한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건강체력 및 비만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Non-disabled Students for the Integrated Middle School Sports

배광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th grade students and 10 non-disabled students. For statistical programs,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dows 25.0, and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e study was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body mass index to determine the health and obes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health fitness and obesity between intellectually and non-disabled studen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the study was set at p <.05,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responsivenes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In the case of obesity, intellectually and non-disabl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한국어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 10명과 비장애학생 10명의 대상으로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1학년∼3학년 의 학생들로 연구 대상을 선정 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Windows 25.0을 사용해서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연 구에서 사용한 통계 방법은 지적장애 학생 과 비장애 학생의 건강체력과 비만 정도를 알기 위해서 체력요인과 신체질량 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건강체력과 비만 차이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서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통계적 유의수준으로는 p<.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로는 중 학교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에 심폐지구력과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및 순발력에 있어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 비만의 경우에서는 유의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검사도구
2.3 연구절차
2.4 자료처리
3. 실증분석
3.1 중학교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건강체력비교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배광열 School Sports. 안양서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