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oi Jae-woo historic sites from the feng-shui’s perspective, and to give the way to complement the feng-shui’s deficiency. To do this,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materials which was the sites related him. They are four sites as follows: The birthplace of Choi Jae-woo, Ul-san historic site, Yongdamjung, the grave of Choi Jae-woo. And this study examined the site sele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four sites from the feng-shui’s perspective, and gave the way to complement the feng-shui’s de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from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ly, the location of all of four sites were relatively good from the feng-shui’s perspective. Secondly, like there is no prefect site from the feng-shui’s perspective, four sites also have the feng-shui’s deficiency. There were natural and artificial Bibo(裨補) signs to complement the feng-shui’s deficiency, and there were points need for additional Bibo. Thirdly, the historic sites were 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unique location characteristics. This led to confirm one aspect of feng-shui, which u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ce. This study will expand the point of view to examine Choi Jae-woo’s thought and philosophy. His thought and philosophy were also formed in his experiential spatial context.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he ‘space(historic sites)’, will be help to a deeper understanding Choi Jae-woo and his thought and philosophy. And this study will be also help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sites by giving the way to complement the feng-shui’s deficienc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최제우 유적지를 풍수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흠결이 있는 곳에 대한 풍수적 보완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최제우와 연관된 가정리 생가, 울산 유곡동 유허지, 용담정, 최제우 묘소 등 네 곳의 유적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이어 연구는 각 유적지의 입지선정 및 공간구성의 풍수적 특성을 분석하고, 흠결이 있는 곳에 대해 풍수적 보완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네 곳의 유적지 모두 풍수의 관점에서 대체로 양호한 곳에 자리해 있었다. 둘째, 풍수적으로 완벽한 땅은 없듯이, 네 곳의 유적지 또한 풍수적 흠결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연 및 인공의 비보 흔적, 그리고 추가적으로 비보가 필요한 지점이 있었다. 셋째, 유적지는 각각의 터가 지닌 특성에 맞게 입지선정 되어 있었다. 이것은 땅이 지닌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게 활용하는 풍수의 한 단면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최제우의 사상과 철학을 조명하는 연구 관점의 폭을 넓힌다는 데 있다. 그의 사상과 철학 또한 공간과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기에, 그의 ‘공간’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최제우 본인 및 그의 사상과 철학에 대한 더욱 깊이 있는 이해에 일조할 것이다. 나아가 연구는 유적지의 흠결에 대한 풍수적 보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유적지의 지속적 관리에 일조할 것이며, 방문객들에 대한 스토리텔링 내용의 확충을 가능케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최제우 유적지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1) 최제우 생가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2) 울산 유곡동 유허지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3) 용담정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4) 최제우 묘소의 풍수적 특성과 비보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