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회불안과 우울증상에 공통된 인지적 취약성과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 검증

원문정보

Testing the Common and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조지현, 조용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mmon and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n to evaluate their contributions simultaneously.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developed an integrated model in which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worry and rumination)’ is a common cognitive vulnerability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both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re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social anxiety, and both ‘positive beliefs’ and ‘negative beliefs’ are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ample of 460 university students. SEM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grat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Of the two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social anxiety,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ppeared to contribute to social anxiety more strongly tha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of the two unique cognitive vulnerabilities to depression, the impact of ‘negative beliefs’ seeme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positive belief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s common to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and unique to each kind of symptoms in explaining, assessing, and treating social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불안과 우울증상에 공통된 인지적 취약성과 각 증상에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을 확 인하고 그 기여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사회불안과 우울증 상에 공통된 인지적 취약성으로 ‘반복적인 부정적 사고(걱정과 반추)’, 사회불안증상에 고유한 인지 적 취약성으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상에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으로는 인지삼제 질문지로 측정된 ’긍정적 믿음’과 ‘부정적 믿음’을 채택한 통합모형 을 제안하였다. 대학생 460명의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통합모형은 수집된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모형에서 사회불안증상의 두 가지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 중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보다 사회불안증상 에 대한 기여도가 더 크고, 우울증상의 두 가지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 중에서 ‘부정적 믿음’이 ‘긍 정적 믿음’보다 우울증상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사회불 안장애와 우울장애를 설명하고, 평가하며, 치료하는 데 있어서 사회불안과 우울증상에 공통된 인지 적 취약성과 각 종류의 증상에 고유한 인지적 취약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 분석
결과
기술통계 분석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구조모형 검증
논의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보완점
연구의 의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지현 Jihyun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 조용래 Yongrae Cho.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