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m trust, peer tru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sports team athletes.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team trust and co-work trust, mediating variables wer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inally, dependent variable w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6 questionnaires who national athlete and young national athlete. This study used SPSS Ver 23.0 for frequency analysis and AMOS 18.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fter confirming the test of goodness of fit of a model, individual hypotheses was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m trust and peer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Team trust and peer trus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 선수가 지각하는 팀신뢰와 동료신뢰,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유효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팀신뢰와 동료신뢰를 독립변수로,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조직유효성을 종속 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조사대상은 국가대표와 상비군 선수 226명이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3.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SEM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하고 가설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팀신뢰와 동료신뢰는 모두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유효 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신뢰와 동료신뢰는 모두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
3. 변인 간 이론적 관계와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과 자료수집
2. 조사도구
3. 자료분석 방법 및 절차
Ⅲ. 결과
1. 내생변인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2. 측정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3.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가설검증
Ⅳ. 논의
1. 신뢰차원과 긍정심리자본과의 관계
2.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3. 신뢰차원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