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 타당성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Athletes Trainer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노용구, 전상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professional trainer training syste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ew qualifications for job creation and qualification market activation as the demand of sports field is continuously increasing. To this end, the literature analysi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on the introduction of the professional athlete trainer qualification system were applied to suggest data collection and results. In conclusion, first, after legal review, legal agreement and cooperation between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on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trainer training system should be made. Second, after establishing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base, social consensus on the introduction of the professional trainer training system should be obta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ocial awareness of athlete trainers and select clear roles and scopes as professional field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elite athletes' athletics and vitalization of their daily sports,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athlete trainers capable of exercise-based health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To this end, legal agreements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found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job roles are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스포츠 현장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일자리 창출 및 자격시장 활성화를 위한 신규자격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수트레 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에 대한 문헌분석 및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적용하여 자료수집 및 결과 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첫째, 법률적 검토 후 선수트레이너 전문자격제도의 도입에 대한 관계 정부 부처 간의 법률적 합의 및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기반을 갖춘 후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의 도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얻어야 한다. 셋째, 선수트레이너의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전문 영역으로서 명확한 역할과 범위 선정이 필요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엘리트선수 경기력은 물론 생활체육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운동 기반의 건강관리가 가능한 선수트레이너에 대한 자격 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 여 관련 단체 간의 법률적 합의, 체계적 교육시스템 기반 마련, 직무 역할에 대한 정체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내용
2. 조사대상
3.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의 적합성
1. 사회적 요구도
2. 직무 전문성
3. 능력인증 필요성
4. 일자리 가능성
Ⅳ.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에 대한 법적 검토
1. 의료법
2. 자격기본법
3. 국민체육진흥법 & 학교체육진흥법
Ⅴ. 선수트레이너 전문 자격제도 도입방안
1. 도입방향
2. 도입 방안
3. 도입 대안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용구 Noh, Yong-Gu.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 전상완 Jeon, Sang-Wan. 가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