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도자공예 번역어의 외국인 이해도와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방법 연구

원문정보

How to Increase Foreign visitors’ Understanding and the Publicness of Translated Ceramic Art Terms in the Museum

김현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ed to measure the degree of foreign visitors’ understanding in order to examine the publicness of translated terms in the museum, and encourage museums to use ease-to-understanding translated terms. The results showed that foreig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understood only 15.5% of translated ceramic terms which actually used in the Museum. However, when presenting ease-to-understanding translated terms, which I discretionally generated based on the formation requirements of public and technical terms, to foreigners, the degree of their understanding dramatically increased to 56.59%. This findings indicated that when translating ceramic terms, six requirements(① no transliteration, ② using English, ③ building translation strategy for expressing cultural terms, ④ using high-frequency vocabulary, ⑤ not using difficult technical terms, ⑥ consistent translation) should be met for enhancing the publicness.

한국어

이번 연구는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번역어의 공공성을 살펴보기 위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도자공예 번역어의 이해도를 구체적인 수치로 측정하고, 이해하기 쉬운 번역어 만들기를 박물관 현장에 촉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현재 박물관에서 쓰는 도자공예 번역어의 외국인 이해도는 15.5%에 불과해 공공 번역어로써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논자가 공공 언어와 전문어의 생성 요건을 참고하여 임의로 쉬운 도자공예 번역어를 만들어 다시 조사했더니 외국인의 도자공예 번역어 이해도가 56.59%로 크게 높아졌다. 이를 통해 도자공예 번역어는 여섯 가지 요건(①음역 피하기, ②영어 어휘 사용하기, ③문화소를 표현할 수 있는 번역 전략 세우기, ④고빈도의 익숙한 표현 사용하기, ⑤어려운 전문용어 쓰지 않기, ⑥일관성 있게 번역하기)을 충족했을 때 공공성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1. 문화유산 번역에 관한 기존 연구 방향
2.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도자공예 번역어의 성격
3. 공공 언어의 개념과 쉬운 도자공예 번역어의 요건
4.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1. 도자공예 번역어의 이해도
2. 도자공예 번역어의 선호도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아 Kim, Hyun A. 경인교육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