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북한 급변사태 영향요인 분석 및 대응방향

원문정보

Analysis on North Korea's sudden change Stimulating factors and the direction of response

신승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impact that can cause a sudden change and to suggest a countermeasure that can promote it, Unlike previous research, which defined the view of sudden change as the premise of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s sudden change' or 'the case of a sudden change'. The framework of analysis for this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impact through the theory and case of sudden change and compare them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North Korea to derive the factors of impact of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a total of 14 factors were derived, and 6 external factors (including 4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uld actively affect the occurrence of sudden changes outside North Korea. The 6 factors produced were divided into 3 factors, relative deprivation, serious economic difficulties and international sanctions and pressure considering similar characteristics between factors. The direction of response by each factor is to actively promote factors of influence to induce a sudden change in the Nor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already met the conditions of the above factors. In a way that facilitates this analyzed influencing factors, management of North Korea should be made in connection with the sudden change in the North Korea. It is no longer desirable if this study makes a small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the factors of influence in the North to actively intervene in the North Korean situation and realize unification from now 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sudden change in the North Korea as an opportunity for reunifi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급변사태를 보는 관점을 그간 선행연구에서 다룬 ‘북한 급변사태 가능’ 전제 혹 은 ‘급변사태 시’로 한정한 것과 달리 급변사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 분석과 이를 촉진시킬 수 있는 대응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한 분석의 틀은 급변사태 이론과 사례를 통해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現북한 정세와 비교하여 북한 급 변사태 발생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총 14개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이 중에서 6개의 외부요인(내ㆍ외부요인 4개 포함)은 북한의 외부에서 급변사태 발생에 적극적 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도출된 6개의 영향요인은 요인 간 유사 특성을 고려하면 『상대적 박탈감』, 『심각한 경제난』, 『국제사회 제재 및 압박』등 3개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요인별 대응방향은 적극적으로 요인을 촉진시켜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을 유도하는 것으로써 북한은 이미 상기 영향요인의 조건을 상당히 충족시키고 있다. 이렇게 분석한 영향요인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북한에서 의 급변사태 발생과 관련된 북한 관리가 되어야 하고, 영향요인에 대한 촉진과정을 통해 북 한 급변사태를 통일의 기회로 삼아 적극적으로 북한 상황에 개입하여 차제에 통일을 실현토록 하는 것에 본 연구결과가 조금이나마 기여를 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급변사태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Ⅲ. 동구권 및 중동 급변사태 사례
Ⅳ. 북한 급변사태 영향요인 분석 및 대응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승규 Shin, Seung-Kyu.. 한성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