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서울 5개 역세권 개발 및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Structura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oul 5 Railroad Station Area Development and Regional Revitalization

최수범, 임석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important points. First, the results of Cheongryang-ri SAD model show that main function group, and core facilities group significantly affect regional revitalization. Second, Wangsim-ri SAD model confirms that transportation, commerce and office, and amenity improve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Third, the result of Seoul SAD demonstrates that transportation, information exchange, commerce and office, and amenities positively affect culture and leisure activities and sound local environments in terms of residents’ quality of life. Fourth, Gwangmyeong SAD model shows that main function, revitalization support and core facilities group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regional revitalization. Fifth, Yongsan SAD model presents that transportation, information exchange, commerce and office, and amenities not only revitalize commercial area and regional economy but also increase the number of visitors in terms of regional revitalization.

한국어

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량리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 핵심 복합 시설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 기능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왕십리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지역 활성화만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과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 검증되었다. 광명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 핵심 복합시설 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 과 핵심 복합시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산 역세권은 지역 활성화 측면에서 주요 도입기능, 활성화 지원 방안이 유효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주요 도입기능만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울 5개 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 분석 결과, 매우 유사한 영향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 Abstract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역세권 개발의 개념
2.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체계 설정 및 설문조사
1. 분석변수의 선정
2. 설문조사 내용 및 결과
3. 연구가설 및 분석모형 설정
Ⅳ. 서울 5개 역세권 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1. 청량리 역세권
2. 왕십리 역세권
3. 서울 역세권
4. 광명 역세권
5. 용산 역세권
Ⅴ. 결론
< 국문요약 >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수범 Choi, Soo-Beom.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경영인사처) 차장, 도시공학박사
  • 임석우 Lim, Seok-Woo. 광운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