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보리 엔슈 정원의 공간조형 특질 - 석조물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bori Enshu's Garden : Focusing on Stone Structures

이미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s the nature and formative features of Kobori Enshu's garden with respect to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works found in Kobori Enshu's garden. Enshu's garden has a characteristic that stone structures in Enshu's garden and Roji (Tea Garden) were reused as elements that form the garden landscape by altering the use of old stone art pieces. The analysis of form and spatial layout of the Enshu's stonework showed that each stonework had a symbolic meaning and role. Particularly, jozubachi and the stone lantern in Roji served as a symbol that directly communicate Roji's image and the aesthetic sense of tea master, in addition to having a practical function. The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of Enshu's garden is that it combines splendid and fine ornateness as well as elegant royal design of the Kanei culture with straight line and geometric garden design that was introduced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Asuka period, and recreated the Enshu's style design accordingly. Based on the remains of many excavated square ponds in the Asuka region, including the Sento Imperial Place Garden's the square pond during the time of Enshu's construct and Askamura Shimanosho's the square pond, it can be reaffirmed that Japan's garden culture has been developed with a deep connection to the garde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본 논문은 고보리 엔슈(小堀遠州)가 정원 조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정원과 로 지(露地)를 중심으로 엔슈 정원의 공간구성과 조영 특징, 석조물의 형태와 배치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일본 정원문화에서 석조물은 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로지의 물그릇(手水鉢)과 석등롱(石灯籠)은 실용적인 기능 과 함께 로지의 이미지와 다인의 미적 취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상징물의 역 할도 한다는 것이다. 고보리 엔슈가 창작한 석조물 조형의 특징은 자연석과 가공 석이 본래 가지고 있는 형태와 재질을 살려서 상호간의 장점을 돋보이며 유연하 게 조화를 이끌어 낸다는 점이다. 고보리 엔슈의 정원과 로지는 간에이 문화(寬永文化)의 화려하고 섬세한 장식 성과 우아한 왕조적 디자인을 바탕으로 아스카시대(飛鳥時代) 한반도에서 전래된 직선적이고, 기하학적인 정원 디자인을 접목하여 고보리 엔슈 취향의 조형 디자 인으로 새롭게 창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센토고쇼(仙洞御所)의 조선 석등(朝鮮灯籠)과 고호안(弧篷庵) 로지에 배치되어 있는 고보리 엔슈 취향의 석등롱의 특징은 서로 다른 용도의 석등롱과 석탑을 조 합하여 새로운 형식의 조형 예술품으로 창작하였다는 점이다. 고보리 엔슈 특유 의 미의식이자 외래의 문화와 자국의 문화를 치밀하게 결합시켜 새로운 양식의 문화를 생성시키는 일본 문화의 특징이 명료하게 표출되어 있다. 고보리 엔슈가 조영할 당시의 센토고쇼의 방형연못(方池)과 아스카무라 시마노 쇼(明日香村 島庄)의 방형연못을 비롯해 아스카 지역에서 다수 발굴된 방형연못 의 유구(遺構)를 통해 일본의 정원문화는 한반도의 정원문화와 깊은 연관성을 맺 으며 발전해 왔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엔슈 정원의 공간조형
2.1. 센토고쇼 정원의 공간구성과 석조물
2.2. 곤치인 정원의 구성과 석조물의 특징
3. 엔슈의 로지 구성과 석조물
3.1. 고호안 로지의 구성과 석조물의 특징
3.2. 엔슈 취향 석등롱과 일본 석등롱의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이미자 Lee, Mi-Ja. 중앙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 수료, 일본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