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唐宋音에 걸친 流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원문정보

Reflection of Group Liu(流)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당송음에 걸친 유섭운의 자음형에 대하여

呉采賢, 李京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rren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eflection of group Liu(流)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1) Grade Ⅰ opened rhyme Hou(侯) appears as -ou type in So’on and it as -eeu type in To’on. Rhyme Hou was not changed from late ancient Chinese to recent Chinese because the -ou type of rhyme Hou in So’on is the same as Kan’on was reflected in Late Ancient Chinese. No reason was found why the -eeu type of rhyme Hou in To’on changed from /ou/ to /eu/. As an explanation, the -eeu type of To’on and Kejia(客家), it seems that /əu/ of the rhyme Hou in Middle Ancient Chinese directly replaced the /eu/ which does not have the vowel /ə/. 2) Grade Ⅲ opened rhyme You(尤) appears same as -iu type in So’on and To’on. Rhyme You(尤) was not changed from late ancient Chinese when applied in recent Chinese because the -iu type of rhyme You in So’on and To’on is same type as Kan’on was reflected in late ancient Chinese. 3) Grade Ⅲ opened rhyme You(幽) appears mainly as -iu type in So’on and To’on. Rhyme You(幽) was not changed from late ancient Chinese to recent Chinese because the -iu type of rhyme You in So’on and To’on is same as Kan’on was reflected in the late ancient Chinese.

한국어

본고에서는 일본의 唐宋音에서 流攝韻이 어떻게 출현하는지를 제시하고, 그 이유에 대해 기존의 학설과 현대 方言을 참조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侯韻은 宋音에서는 주로 ou로, 唐音에서는 주로 eeu의 長音形으로 나 타난다. 宋音의 ou는 秦音을 반영한 漢音과 동일한 字音形이므로, 侯韻이 秦音 이후 별 변화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唐音의 eu는 秦音과 동일한 母音體系의 내에서 ou 에서 eu로 변화할 수 있는 요인을 찾기 어렵다. 日本 唐音과 客家方言의 eu를 설명 하기 위해서는 秦音의 ou 이전에 존재했던 切韻音까지의 əu에서 中位母音 ə가 존재 하지 않는 方言에서 ə에서 e로의 대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開口3等 尤韻은 宋音과 唐音 모두 주로 iu로 나타난다. 宋音과 唐音의 iu는 秦 音을 반영한 漢音과 동일한 字音形이므로, 尤韻이 秦音 이후 별 변화가 없었음을 의 미한다. 단지 尤韻은 上海方言에서 주로 ieu(또는 eu)로 출현하고 있으며, 廣東方言 에서는 iau(또는 au)로 나타나고 있다. 上海方言의 ieu는 ə가 없는 母音體系에서 ə에 서 e로의 交替를 통해 형성된 것으로, 廣東方言은 iau는 ɑ・ʌ・a・ɐ의 구별이 없는 母 音體系에서 굳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3) 開口3等 幽韻은 宋音과 唐音 모두 주로 iu로 출현하여, 秦音의 iu에서 거의 변 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단지 唐宋音과 현대 方言에서 일부 核母音을 a로 반영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南北朝音까지 유지하고 있던 核母音이 일부 方言 속 에 남아 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本論
2.1. 開口1等 侯韻
2.2. 開口3等 尤韻
2.3. 開口3等 幽韻
3. 맺음말
관련 웹 사이트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呉采賢 Oh, Chaehyun.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대학원, 음운론
  • 李京哲 이경철.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음운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