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근·현대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의 변화 연구

원문정보

Study for the Change and Evolution of Administrative System in terms of Medicinal Products in Kore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Present

홍정희, 강종성, 채규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historical period and find their meaning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organization-related acts and regulation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s in terms of medicinal products. The historical period for this study cover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the present Republic of Korea administration. The period includes Joseon Dynasty, the Korean Great Empire (KGE) (1897- 1910),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JFO) (1910-1945),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GROK) (1919-1945),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USAMG) (1945-1948) as well as the Republic of Korea administration (1948-present). The Joseon Dynasty and the KGE government established the new public health administrative system including control of medicinal products and their emerging industry as well as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nd preparedness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y made efforts to further develop the system until the end of the KGE in early 20th century. The system was not developed further and rather degraded during the JFO period as it was used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tools of the colony, not as the public health purpose. In contrast, during the late half of the PGROK, the government considered and actively discussed establishing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health of Korean people. Since the beginning of the USAMG in 1945, the military government transferred public health responsibility out from the police department to the newly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which launched in 1948, has significantly developed and modernized the Public Health administrative system including medicinal products. In 1963, the role of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as reformed and carried out the research and production of medicine products such as vaccine. In the late 1980s, the medicinal products-related administrative system made a big leap by establishing the evaluation system regarding the new drug development. In 1996, the independent administration system of medicinal products, the Headquarters of Food and Drug Safety, was established. Two years later, it expanded and restructured to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In 2013, it was elevated to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n conclusion, the Korean medicinal products-related administrative system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being a part of sanitary and health administration to an independent medicinal productrelated administrative system, responding to the issues at the time. Also, the administrative system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science and technology. Finally, in the midst of historical changes, the most important driver to make decision on the medicinal product policy is to have sovereignty as the found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조직관련 법령을 조사·분석하여 시기별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기간은 원칙적으로 서양의학의 수용 등 근대보건의료체계로 변화했던 19세기 후반부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와 임시정부, 미군정기 및 현 대한민국정부까지로 하였다. 19세기 말부터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조선정 부는 전염병 등 보건의료 이슈, 새로운 약업의 등장에 대응하기 위해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발전시켜 나가려 하였다. 1910년 일제강점기의 시작과 함께 식민지 관리의 수단이 되어 이 행정체제는 발전되지 못 하고 퇴보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한민국 임시정부 후반기에는 국민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위생부 설치가 적극 논의되기도 했다. 1945년 이후 미군정기에는 일제강점기 경찰행정하의 위생관리를 없애고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를 포함하는 보건후생부가 설치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보건행정 체계를 중심으로 의약품 관련 행정은 비약적 인 발전을 하였다. 1963년 국립보건원의 기능개편을 통해 전염병 백신, 치료약품 연구, 생산이 추진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의약품 안전성 평가시스템 확립과 더불어 신약개발을 추진하면서 큰 도약을 하게 되었다. 그 결과, 1996 년 식품의약품안전본부, 1998년 식품의약품안전청, 현재 2013년 식품의약품안전처까지 확대·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의약품 관련체계는 위생, 보건행정의 한 부분에서 독립적 의약품 행정체제로 발전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 분야는 생물, 화학, 의학, 약학 등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국민과 소통해야 하는 과학행정이라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근현대 역사적 변화 속에서 주권적 의사결정이 의약품 관련 행정 발전의 가장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는 점이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조사연구기간, 연구자료 및 연구·분석
2. 연구의 한계
III. 연구결과
1. 의약품 관련 조사연구 대상 용어
2.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의 변화
3. 의약품 관련 행정체제와 연관된 주요 과학적 조사·시험·평가 조직 및 관련 법인
IV. 요약 및 토의
1. 의약품 관련 행정은 위생, 보건행정의 한 부분에서 독립적 행정체제로 발전
2. 의약품 관련 행정은 과학기술과 함께 발전하는 과학 행정의 영역
3. 주권적 의사결정은 의약품 관련 행정발전의 원동력
참고문헌
참고사항
Abstract

저자정보

  • 홍정희 ChongHui Hong. 식품의약품안전처
  • 강종성 JongSeong Kang.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채규한 GyuHan Chae. 식품의약품안전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