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 궁중 무악 고마보코(狛桙)의 문화적 표상

원문정보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court musical dance Komaboko

이부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Japanese court musical dance of Komaboko is classified as Komagaku (a type of musical court dance based on Korean music). Works on music, such as Kyōkunshō, state that its dance movements express the emigration of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Japan by boat. This paper considers Kokon chomonjū, Ryōjinhishō kudenshū, and Takakurain Itsukushima gokōki, focusing on scenes involving Komagaku and Korean people. First, an analysis of the story of Kokon chomonjū reveals that Komaboko was already being performed during the Emperor Uda period, and specific dance forms had already been determined. In addition, it shows the concept of the dance was peace. Second, Ryōjinhishō kudenshū records a visit by Emperor Go-Shirakawa to Itsukushima Shrine and his viewing of the beautiful Komaboko danc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ocean. It is apparent that Komaboko was strongly linked to oceanic imagery. Third, in Takakurain Itsukushima gokōki, Emperor Takakura’s party viewed the Komaudo dance on two occasions in Fukuhara, and the term “Komaudo” (Korean person) was used in the description to indicate recognition of a foreign culture.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on of the depictions of Komaboko in the three documents clarified that Komaboko frequently appeared in the context of journeys and cultural exchanges by ocean during the Heian period. Although Komaboko came to be regarded as a part of Japanese tradition, its foundations seem to have continually remained linked to images of a foreign country supported by evoking cultural exchanges.

한국어

일본 궁중무악 고마보코(狛桙)는 고마가쿠(高麗楽)로 분류된다. 『교쿤쇼(教訓抄)』등의 악서를 참조로 하면 그 연원은 한반도에서 배를 타고 일본에 건너온 도래인들의 모습을 구체화한 춤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콘초몬주(古今著聞集)』, 『료진히쇼 구전집(梁塵秘抄口伝集)』, 『다카쿠라인 이쓰쿠시마 어행기(高倉院厳島御幸記)』등의 일본문헌을 조사하고, 고마가쿠 및 고마우도에 관련된 장면을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첫째로 『고콘초몬주』의 분석을 통해 우다(宇多) 천황의 시대에 이미 고마보코가 공연되고 춤의 구체적 작법까지가 정해져 있었음을 확인하고 고마보코에 내재된 평화의 기원하는 성격에 대해 고찰했다. 둘째로 『료진히쇼 구전집』에서 고시라카와(後白河) 천황이 이쓰쿠시마(厳島) 신사에 행차하고 바다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고마보코 춤을 관람한 기술을 분석했다. 고마보코는 바다의 이미지와 강하게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다카쿠라인 이쓰쿠시마 어행기』에서는 다카쿠라인 일행이 후쿠하라(福原)에서 두 번이나 고마보코의 공연을 보는데 그 묘사의 문맥 속에서 ‘고마우도(高麗人)’라는 표현과 함께 외래문화에 대한 인식을 함께 살폈다. 즉 세 가지 문학 속 고마보코의 용례를 살핀 결과, 일본고전문학 속 고마보코는 미야지마(宮島)로의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는 여행이나 교류의 문맥 속에서 빈번히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시대를 거쳐 무악이 일본 고유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해가는 속에서도 고마가쿠(高麗楽) 고마보코의 근저에는 이국의 표상과 문화교류를 환기하는 요소들이 놓여있었던 것이다. 고마보코는 문화교류의 문맥에서 끊임없이 소환되면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고마보코의 성격과 특징
1. 유래와 구성
2. 평화를 기원하는 춤
3. 바다를 통한 교류의 춤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부용 Lee, Bu-yong.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