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남해 지역 길쌈 두레 운영의 특징과 현재적 의미

원문정보

Study on work exchange methods of Gilssam Dure in Namhae

도선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value and meaning of the Gilssam Dure with considering work exchange methods and the operation of Gilssam Dure for women to do Gilssam Dure in ethnographic viewpoints. The research method is the field survey for women to do Gilssam Dure in Namhae. As a result, the following is work exchange methods of Gilssam Dure in Namhae. In Namhae, Gilssam Dure is different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cannabis control act. Before cannabis control act, Gilssam Dure is the method to exchange work with assembling Dure labors in common. At this time, It was difficult to know the time of night Dure because there was no clock in rural area. Local women to do Gilssam determined the time to finish work with guessing time to see the star or moon and restricting amount of work. It is women`s wisdom to exchange Gilssam Dure work equitably. By the way, community cultures last that Dure labors to finish work help Dure labors not to do and come back home together at the end of the work,. Beyond equal distribution of work exchange, a community is prior to an individual as a collaboration community. It can shows feature of work exchange methods of Gilssam Dure in Namha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annabis control act, hemp is not plated in Namhae. Women buy hemp in Sacheon Wansa, do Gilssam. Now, they did Gilssam with having each work and gathering at a certain place. The conventional Gilssam Dure labors exchange common works and obtain equal work output. Now they obtain work output of each efforts. The value of Gilssam Dure remain only effectiveness as work place together rather than work exchange methods.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민족지적 관점에서 길쌈 두레를 했던 여성들을 대상으로 길쌈 두레 운영과 노동교환 방식을 고찰하여 길쌈 두레의 가치나 의의를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길쌈 노동을 했던 남해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남해 지역 길쌈 두레 노동교환 방식은 다음과 같다. 남해 지역 길쌈 두레는 대마관리법 시행 전후로 달라졌다. 대마관리법 전의 길쌈 두레는 두레꾼들이 모여서 공동으로 노동을 교환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시기의 농촌 지역에는 밤 두레 때 시계가 없어 시간을 가늠하기 어려웠다. 길쌈을 했던 현지 여성들은 별이나 달을 보고 시간을 가늠하거나 일의 양을 한정하여 일을 마치는 시간을 결정하였다. 공정하게 길쌈노동을 교환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지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일을 마칠 때는 일을 끝내지 못한 두레꾼들의 일을 도와서 같이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공동체적인 문화가 지속되었다. 노동교환의 공정한 분배를 넘어서 협동의 공동체로 개인보다 공동체를 우선시 하는 것이다. 남해 지역의 길쌈 두레 노동교환 방식의 특징이라 볼 수 있다. 대마관리법 시행 후에는 남해 지역에서는 삼을 재배하지 않았다. 여성들은 사천 완사에서 삼을 사와서 길쌈을 하였다. 이제는 각자의 일감을 가지고 일정한 장소에서 모여서 길쌈을 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해왔던 길쌈 두레꾼들이 공동 노동을 교환하여 균등한 노동 결과물을 얻었다면 이제는 각자 노력한 만큼 일한 것의 결과물을 얻게 되었다. 길쌈 두레의 가치는 노동교환 방식보다 모여서 일을 하는 공간으로서 효율성이 남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남해 지역 길쌈 두레 공동체
Ⅲ. 남해 지역 길쌈 두레 운영의 특징
1. 길쌈 두레의 시간 전략
2. 길쌈 두레 작업 방식
Ⅳ. 남해 지역 길쌈 두레의 현재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도선자 Do, Sun-ja. 경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