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육화대의 전승 양상 고찰 - 조선 시대에서 대한제국기까지의 문화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spects of Yughwadae - Focused on the Cultural History Aspect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

김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ughwadae(六花隊) is a Joseon Dynasty royal dance created based on Chinese royal dance. After it was created, it was used at all sorts of royal festiv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it did not appear for approximately 400 years in royal literature, its transmission aspect cannot be identified accurately. Fortunately, there was a study which discovered that it was reproduced at a royal festival of the Korean Empire in 1901. Until now, the researchers who mentioned transmission and reproduction of Yughwadae were Jang Sa-hoon and Seong Moo-kyung. However, their study results regarding the transmission process are not consistent. Therefore, transmission of Yughwadae,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to be reconsidered. Furthermore, unlike both Jang Sa-hoon and Seong Mu-kyung who mentioned Yughwadae as royal dance which was conducted exclusively at royal occasions, when seeing that the records of Yughwadae are being discovered from all sorts of civilian works publish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Gyobanggayo􋺸, 􋺷Gaogoryak􋺸, and 􋺷Seonghosaseol􋺸, it can be assumed that Yughwadae was being transmit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utside of royal palace. Unlike existing research outcome that Yughwadae had been discontinued for approximately 400 years after being created prior to King Seongjong and reproduced during King Kojong's New Years Royal Festival in 1901, it can be identified that Yughwadae has been a folk culture not only in Seoul and Gwangju, Yangju, and Anseong in Gyeonggi Province but also in Gyeongsang Province. Even if existing studies on discontinuance of Yughwadae was initiated by Jang Sa-hoon and definition of 'jeongjae (royal dance and song)' was limited to annual royal publications, the culture of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as being spread through active exchanges between royal family and local province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n discontinuance and transmission of jeongjae should be done diachronicall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not only royal family but also local cultures.

한국어

육화대(六花隊)는 중국의 당악정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조선의 당악정재이다. 창 제 이후 조선 초 각종 연향에 사용되었으나 약 400여년간 궁중 문헌에 등장하지 않 아 조선조를 거치며 전승된 양상을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1901년 대한제국의 연향 에서 재현되었다는 연구 성과가 도출된 바 있다. 현재까지 육화대의 전승과 재현에 대해 언급한 연구자는 장사훈과 성무경이나, 전 승 과정에 대한 이들의 연구 성과가 일치하지 않아 조선에서 연행되었던 육화대의 전 승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더욱이 장사훈과 성무경 모두 육화대를 궁중에서만 연행 된 정재로 언급했던 것과 달리, 조선 후기 지방 관아에서 편찬된 『교방가요』와 『가오고략』, 『성호사설』등의 각종 민간 문집에서 육화대의 기록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육 화대는 궁중 밖에서 조선조를 관통하며 전승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육화대가 조선 성종 대 이전에 창제되어 약 400여 년 동안 단절 되었다가 1901년 고종 신축년 진찬에서 재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서울 을 비롯하여 경기도 광주, 양주, 안성 일대와 멀리 경상도 지역에서까지 민속문화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혹, 육화대의 단절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정재'의 용어 정의를 궁중에서의 연행물에 국한한 결과라 할지라도, 조선조의 문화는 궁중과 지방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회전되고 있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재의 단절과 전승에 대한 논의는 궁중뿐만 아니라 지방의 문화 도상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통시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목차

I. 서론
Ⅱ. 육화대의 연행 양상
Ⅲ. 문화사적 관점에 의한 육화대의 전승 양상 재고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원 Kim, Ji-won.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