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동작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 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과 자기조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the DIRFloortime® model on Emotional behaviors and Self-regulations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정희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DIRFloortime® model on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ory function in children with high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tal of 20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had problems with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due to the symptoms of high-functional autism spectrum. The doubl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used the DIRFloortime® model to promot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 in children with high autism spectrum disorder. Applied the program was offer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sessions, 90 minutes.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18.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ssess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behavior and self-regu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Cohen's d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the DIRFloortime® model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symptoms of high function autism spectrum disorder.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pplied as one of various therapy methods in the clinic.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 동작 치료가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서 행동 과 자기조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20명으로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증상으로 인해서 정서 행동의 문제와 자기 조절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중재법은 고 기능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기능을 촉진시키는 DIRFloortime® 치료 모델을 사 용하였고 무용 동작치료와 접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기능 수준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적용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16회기 90분 동안 주2회로 제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 정과 두 집단 간의 중재 후 정서 행동평가 및 자기 조절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맨 휘트니 U검정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효과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 동작 치료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증상을 개선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에서 다양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적용되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반 구조화 된 무용 동작 치료 중재 프로그램 구성
4. 연구절차
5. 자료분석
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동질성 검증 분석
2. DIRFloortime® 모델에 기초한 무용 동작 치료 중재 프로그램 참여 후, 정서 행동 및 자기조절기능에 미치는 효과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희승 Jung, Hee-Seung. 백석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