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한국무용교육 방향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korea traditional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academic age

김승일, 유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by academic age population is decreasing constantly due to low birthrate problems. As su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one Korean traditional dance teacher who has been working as a teacher for more than 10 years in A Art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inuous low birthrate is causing the decrease in academic age population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dance population, hampering and weakening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dance and the 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ballet has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field of private education, prompted by the promotion by professional brands specialized in ballet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preschoolers. The authors suggest establishment of a brand specialized in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early childhood. If preschoolers are able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al dance since their childhood, it would be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y bringing positive changes to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Second, the authors indicate that Korean traditional dance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 fields of Korean culture instead of restricting itself to dance. Collaborations with other fields would demonstrate extended significance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diversity. These efforts will great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job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d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학령인구감소에 따른 한국무용 교육 방향을 탐색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하여 A예술 고등학교에서 10년 이상 한국무용 전임교사로 재직 중인 교사1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단일 사례로 선정하고 심층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속되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학령인구의 감소현상에 따라 한국무용의 인구 감소가 나타나고 실용무용의 상승세 또한 한국무용의 입지를 약하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발레교육전문브랜드의 활약으로 사교육의 하나로 완전히 자리 잡은 발레는 그 인 구가 점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유아한국무용의 기반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연구 참여자는 유아한 국무용 브랜드 구축을 제시하였는데 유아기의 한국무용을 쉽게 접할 수 있다면 한국무용을 중심으로 발전해 나가 면서 한국무용 교육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앞으로의 한국무용 교육이 무용의 장르에만 국한되지 않고 한국문화와의 다양한 접목과 융합을 통해 발전시켜야 함을 시사했다. 다양 한 분야와의 협업을 꾸준히 이어 나간다면, 하나의 전공에서 얻을 수 없던 확장된 의미와 교육의 다양성과 중요성 이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노력들이 장기화된다면 무용직업의 창출 부분에서도 큰 기여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4. 자료의 진실성 및 타당성
결과 및 논의
1. 한국무용 교육현장의 변화
2. 통합예술교육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승일 Kim, seung-il. 중앙대학교, 교수
  • 유지숙 Yoo, ji-sook.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