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근대사회 유연한 정체성에 대한 고찰 : 재한 화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lexible Identity in Post-Modern Society : Focusing on Overseas Chinese in Korea

허설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globalization and the population mobility, individuals communicate with various groups and are put into a completely open system. Therefore, the boundaries of state and national communities, which had previously acted as a barrier, have been broken down, and the discourses surrounding identity are shifting to a situation-based approach that respects the individual's subjective choices. In particular, the signs of “liquid modernity”, which are constantly running through, require peop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flow of change in their identity choices.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flexible identity” which selected by individual’s behavior and will in the context of the overall change of the social structure of overseas Chinese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ld War system, the identity of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is endowed with destiny by the two axes of nation-state, and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 is consistent with the group’s identity. In the 1990s, when the Cold War was dismantled, especial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they will gradually get rid of collective detention and form the self-discipline of new relations. At the same time, they will also experience a period of identity confusion and contradiction. As a result, the third identity of “overseas Chinese in South Korea” which transcends the nation-states framework appeared and goes out live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third identity is not the same change within the overseas Chinese community, but is constantly divid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personal status and identity.

한국어

오늘날 세계화와 초국적 인구이동이 일상화됨에 따라 개개인들은 다양한 그룹집단과 의사소통하고 완전히 오픈된 시스템에서 구성되는 새로운 집단에 편입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기존에 울타리 역할을 해왔던 국가 및 민족공동체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정체성을 둘러싼담론도 국가와 민족이라는 두 축을 넘어서 개인의 주체적 선택을 존중하는 상황중심의 접근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특히 쉴 틈 없이 관철되는 ‘액체근대’의 징후들은 사람들에게 정체성의 선택에 있어서도 변화의 흐름에 유연하게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 이 글은 재한 화교의정체성이 변동되는 사회구조적 환경에서 어떻게 선택 또는 재구성되는지를 고찰함으로써개인의 행위와 의지에 의해 선택되는 ‘유연한 정체성(flexible identity)’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냉전체제 성립이후 재한 화교들의 정체성은 민족-국가의 두 축에 의해운명적으로 부여되어 개인의 정체성은 집단의 정체성과 일치성을 보였다. 그러다 냉전구도가 해체되는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특히 한중수교 이후 서서히 집단의 구속에서 벗어나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자율성을 보장받음과 동시에 정체성의 선택에 있어서도 갈등시기에 접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국가-민족적 틀에서 벗어난, ‘재한화교’라는 제3의 정체성을구축하여 한국에서의 생활을 영위해나가고 있다. 또한 이런 제3의 정체성은 화교 공동체 전반에서 획일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지위와 신분의 차이에 의해 내부적으로부단히 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목차

요약문
Ⅰ. 서론
Ⅱ. 민족-국가의 경계: 고유정체성의 유지
Ⅲ. 국가-민족 경계의 희석: 정체성의 혼종과 갈등
Ⅳ. 경계의 재구축: 정체성의 다원적 선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설화 Xu, Xue-Hua.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