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recognition change on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nd its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The Jigsaw model IV was employed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named “Creative Thinking & Communication”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19. At the start of the school, 270 enrollers participated in the first survey; at the end of the school, 245 learners who finished the course participated in the second survey.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who did not like team-based learning at firs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igsaw activities and positively changed their recognition on preference and interest in team-based projects at the significant level (P<0.05). In the second survey, where they replied by Likert 5-point scale, they positively evaluated the effects of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hey improved leadership (4.33) and self-esteem (3.94); reduced anxiety and burden of learning (3.91); could understand lessens easily and remember them longer (3.88); and enjoyed lessens (3.79). In particular, at the significant level, female students more positively evaluated all the effects. Females were more interested in cooperative learning, while ma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females in preference on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ight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female students than male learners. It is suggested that mo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Jigsaw cooperative learning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C대학의 2019년 1학기 1학년 교양과목 “창의와소통” 수업에서 직소 (jigsaw) 협동학습 모형IV를 발표·토의·토론 과정에서 수행하게 하고,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들 의 인식변화와 인지·정의적 효과가 있었는지를 조사 연구하였다. 학기초 270명의 수강자들이 사 전자가평가에 참여하였고, 학기말 245명의 학습자들이 사후자가평가에 참여하여 리커트 5점 척 도의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도, 참여도에서 p<0.05 유의수준 하에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협동학습의 인지·정의적 효과 로 리더십 향상(4.33), 자존감 향상(3.94), 학습 부담과 불안을 덜어줌(3.91), 이해와 기억의 용이성 (3.88), 학습의 즐거움(3.79) 순으로 5개 항목 모두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학 기말 남녀 학습자들의 응답에서 성별 유의미한(p<0.05)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들(3.30)은 여학 생들(3.26)보다 협동학습의 선호도가 높아졌지만, 여학생들은 협동학습의 흥미도와 인지·정의적 효과 5개 항목 모두 남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는 직소 협동학습이 남학 생들보다 여학생들에게 만족도가 더 높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앞으 로 다양한 교과분야에서 직소 협동학습의 성별 차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와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