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Academic Communities and Political Networks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 Focused on Donglin and Fushe -

신현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ademies as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Networks during the period of Ming and Qing, China did not aim at the uniform sameness. Rather, they freely discussed studies and politics altogether.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cadem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which became earnest since the mid-Ming Dynasty of China, it is no doubt that we cannot skip the figures in the lin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like Zhan Ruoshui (1466-1560) and Wang Shouren (1472-1529).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mention the two persons either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active academic debates and various academic schools from the camp of Yangmingism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Definitely, those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ademy since the mid-Ming Dynasty was Yangming School, that is, Wang Shouren and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f Chin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and the early Qing period without Donglin School in the line of Zhuxiism, who actively developed fierce academic debates with them (Left-wing of Yangmingism)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who attempted the compromise and fusion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fucia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academy, incorpo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lourish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late Ming Dynasty as an example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during the pre-modern times in East Asia, putting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s during the pre-modern times of China into the scope of research. Thus, this study recognized all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Song and Ming Dynasties, in terms of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Ming Dynasty and the raison d'etre of the academy during the Ming Dynasty and Confucian academic discourse and the real political discourses,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Donglin School as an important academic and political network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Fushe, which is also called Xiaodonglin.

한국어

중국 명청시기 유교 학술공동체로서의 서원과 강학 네트워크는 획일적 같음을 지양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함께 학술과 정치를 자유롭게 논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중국 명대 중기부터 본격화된 서원과 강학 제도의 발전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담약수(湛若水, 1466-1560)와 왕수인(王守仁, 1472- 1529) 등 양명심학(陽明心學) 계열의 학자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또 명대 말기 양명학 진영에서의 활발한 학술 논쟁과 여러 학술 유파의 등장에 관해서도 이 둘의 존재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확실히 명대 중기 이후 서원 강학의 제도화에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역시 양명학파, 즉 왕수인과 그의 제자들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양명학 좌파)과의 격렬한 학술 논쟁을 전개한 주자학 계열의 동림학파 및 주자학‧양명학의 절충과 융합을 시도한 즙산학파의 유종주를 빼놓고서도 명말청초의 중국 유교사상사를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논고는 중국 전근대의 서원과 강학의 전통을 연구범위의 시야에 넣으면서 명대 말기에 이르러 활화산처럼 흥성한 서원과 결사 및 강학의 유교 학술적, 정치적 양상 등에 관하여 동아시아 전근대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국 송명대 서원과 강학의 제 양상에 관하여 유교 학술공동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대의 서원과 강학의 양상이 어떠했는지, 또 명대 서원의 존재 의미 및 강학의 주요 내용인 유교적 학술 담론과 현실 정치적 담론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에 더해 명대 말기 주요한 학술‧정치 네크워크로서 동림학파와 소동림(小東林)이라는 불리는 복사(復社)의 전개 양상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학술공동체로서 서원과 강학
1) 서원의 기능과 절강 지역의 서원
2) 강학-유교 학술과 정치 담론
3. 학술과 정치 네트워크
1) 학술·정치 네트워크로서 동림서원
2) 소동림으로서 복사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현승 Shin, Hyun-Seung. 중국 정강산대학 외국어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