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사에서 귀신 존재 문제에 대한 주자의 고찰 - “여재(如在)”와 “교화(敎化)”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Chu-tzu’s Consideration on the Problem of Ghost Existence in Sacrifice - Focusing on "Deemed to exist (如在)" and "Civilization (敎化)" -

유은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traditional Confucian interpretation of ghosts and ancestral rites in two aspects: "deemed to exist (如在)" and "civilization (敎化)", and explains how Chu-tzu criticized and reinterpreted these traditional views, and examines the way the natural justification of Confucian ancestral rites is demonstra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doctrines of Chu-tzu.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f Confucius' revival of the humanistic spirit, many Confucian scholars have interpreted ancestral rites as a ritual system established by the Saint to realize the purpose of civilizing the people. The issue of the existence of ghosts as the subject of the rites didn’t receive attention as the ancestral rites were conceived for the social goal of "civilization (敎化)," and as the expression "deemed to exist (如在)" suggests, ghosts tended to be interpreted as existing by the priest's assumption or imagination. This interpretation of ghosts and ancestral rites was justified by the spirit of "Serving deceased ancestors sincerely (Chuyanggyehyo, 追養繼孝)," and the virtues of esteem and obedience of the people cultivated through the ancestral rites were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e realization of social order. The traditional Confucian ideas of ghosts and ancestral rites were helpless in the face of the explosion of Buddhism, Taoism and folk beliefs. Against this backdrop, Chu-tzu reinterpreted "deemed to exist" and criticized the idea of "civilization", and in turn secured the legitimacy of the Confucian ritual in terms of the transcendent dimension of "Principle (li, 理)"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Nature (cheng, 誠)". For Chu-tzu, the ritual was not just a collection of external forms. Under the cosmological structure of "Principle and Vital force (liqi, 理氣)," the ritual was a scene where humans and ghosts “communicated (感通)" with each other. The Vital force (qi, 氣) of the ancestors gathered at the rite existed real, and was fluid and full (流動充滿) in the space of the rite, which was what made people afraid of ghosts. Ritual as the rules of decorum is the answer of human duty (人道) to the cosmic order of "life and death coincide" because the Saint saw through the law of nature (天理), which was its fundamental principle, and enacted it, not a norm that was fabricated for any artificial purpose. In the eyes of Chu-tzu, this was the ultimate reason of the ancestral rites, and if it was understood right, the question of what ghosts to serve and how to perform the rites in detail etc. would naturally be settl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the examples of Confucianism.

한국어

본고는 귀신과 제사에 대한 유가의 전통적 해석을 “여재(如在)”와 “교화(敎化)” 두 측면에서 살피고, 주자가 이러한 전통적 관점을 어떻게 비판하고 새롭게 해석했는지 해명하여, 주자학의 체계 안에서 유가 제사의 자연 정당성이 논증되는 방식을 고찰한다. 공자가 인문정신을 부흥한 춘추 이래 많은 유학자들은 제사를 성인이 백성 교화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제정한 의례 제도로 해석했다. “교화”라는 사회적 목표를 위해서 구상된 제사에서 제사 대상인 귀신의 존재 문제는 주목받지 못했으며, “여재”라는 표현이 암시하듯이 제사에서 귀신은 제사자의 가정 혹은 상상에 의해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해석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귀신과 제사에 대한 해석은 “추양계효(追養繼孝)”의 정신에 의해 정당화되었으며, 제사를 통해 배양되는 백성들의 존경과 순종의 덕성은 사회질서 실현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그러나 귀신과 제사에 대한 유가의 전통적 관념은 불교, 도교 및 민간 신앙의 폭발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는데 주자는 “여재”를 새롭게 해석하고 “교화”의 관념을 비판하였으며, “이(理)”와 “성(誠)”의 두 측면에서 유가 제사 의례의 정당성을 논증하였다. 주자에게 있어 예법으로서의 제사는 어떤 인위적 목적을 위해 허구로 만들어진 규범이 아니라 성인이 근원적 원리인 천리(天理)를 간파하고 제정한 것이었으며 “이기(理氣)”의 우주론적 구조 아래서 인간과 귀신이 실제로 “감통(感通)”하는 현장이었다. 주자는 이러한 제사의 궁극적 이치가 올바르게 확립된다면, 귀신과 제사에 대한 제 문제는 자연히 유가의 예제 원칙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것이라고 여겼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귀신과 제사에 대한 유가의 전통적 해석
1) 여재(如在) - 귀신 존재여부에 대한 유보적 태도
2) 교화(敎化) - 제사 의례의 궁극적 목적
3. 귀신과 제사에 대한 주자의 해석
1) “여재(如在)”와 “교화(敎化)”에 대한 비판
2) “여재(如在)”와 “교화(敎化)”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은주 Yoo, Eun-Joo. 동덕여자대학교 교양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